2024년 4월 22일 월요일

미백 물질 - 모노벤존 (Whitening substance - monobenzone)

미백 물질 - 모노벤존 (Whitening substance - monobenzone)

모노벤존 (Monobenzo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모노벤존 화학구조식 이미지
모노벤존 화학구조식

 모노벤존(분자량 200.233180)은 monobenzyl ether of hydroquinone(MBEH)을 말하며, 1930년대 고무 산화 방지제로 처음 소개되었다. 모노벤존의 피부에 대한 효과는 직업적으로 노출된 환자에서 처음 보고되었는데, 노출된 케이스의 50%에서 피부탈색이 발생하였고, 또한 소수에서 과색소침착이 일어났다(Mosher DB 등, 1997).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생산되고 있지 않지만 미국에서는 진행된 백반증 환자의 탈색 치료를 위해 FDA의 승인 아래 사용되고 있다(Bolognia JL 등, 2001). 모노벤존에 의해 유발된 완전 탈색 환자의 조직학적 소견은 백반증의 그것과 같아서 표피는 멜라닌세포가 없는 것을 제외하곤 정상 소견을 보인다. DOPA 반응은 음성이며, 전자현미경 소견은 멜라닌소체가 전체적으로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Amanda MM, 1996).

 이러한 모노벤존의 탈색 기전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제한된 실험으로 입증된 가능성있는 탈색 기전은 다음과 같다(Mosher DB 등, 1997).

(1) 멜라닌세포에 대한 손상으로 세포 사멸을 유발
(2) 멜라닌 합성을 방해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 효과
(3) 모노벤존의 하이드로퀴논 및 다른 화합물로의 전환
(4) 면역학적 반응

 모노벤존에 의해 유발된 백피증(leucoderma)은 비가역적인 것이지만, 때로는 재색소침착이 일어날 수 있고 이런 경우 재착색은 수개월에서 수년 후 서서히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지지만 20% 모노벤존크림 사용 중단 후 수 주만에 발생된 케이스도 보고되고 있다(Amanda MM, 1996).

 모노벤존은 티로신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데 사용되는데, 주로 심각한 백반증에 쓰인다. 이것은 비교적 극단적인 치료법으로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의사들은 사실상 색소가 침착된 부위에 대한 전체적인 탈색 목적보다는 백반증이 나타난 부위에 대한 색소 재침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Kenny JA 등, 1983).

 모노벤존의 사용은 백반증으로 인해 환자의 정상적 사회생활이 어려운 상황에서 색소 재침착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심한 백반증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한 가지 동일한 피부색을 갖기를 간절히 소망할 것이기 때문이다(Deprez P, 2006).

 하지만 모노벤존의 사용은 미적 측면에서 큰 위험성이 따르는데, 피부가 완전히 하얗게 되고 햇빛에 의해서는 화상을 입은 것처럼 변해 색소 재침착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그러므로 농도가 어떻든 절대 단순한 미백제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부작용으로 치료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탈색이 나타나기도 하고, 결막 흑피증, 각막 색소침착, 접촉성 알레르기, 피부발진이 유발될 수 있으며(Hedges TR 등, 1983/ Nordlund JJ 등, 1985) 피부는 멜라닌의 보호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햇빛에 대한 보호 조치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모노벤존은 색소 재침착이 어려운 심한 백반증을 제외한 주근깨, 기미, 검버섯, PIH 및 기타 과색소침착 질환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Deprez P, 2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