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피부질환아틀라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피부질환아틀라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1월 8일 화요일

열성 홍반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Erythema Ab Igne

열성 홍반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Erythema Ab Igne

열성 홍반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Erythema Ab Ig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Clinical Features of Erythema Ab Igne

Erythema Ab Igne Image
사진 1. 다리의 열성홍반 


증상

 열에 노출된 부위를 따라 망상형(그물 모양)의 홍반이 나타나며, 흑갈색의 색소침착을 보인다.

임상 요약

 피부는 인체와 주위 환경 사이의 경계면으로서, 다른 어느 장기보다도 외부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직접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많다.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열, 한랭, 기계적 자극, 태양광선 및 방사능 등과 같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 중 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피부질환은 화상, 땀띠 그리고 열성홍반이다. 열성홍반이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 시 발생하는 뚜렷한 망상의 홍반 또는 과색소성 반을 말한다. 요리사, 화부 등 직업적으로 오랜 기간 열에 노출되거나, 뜨거운 온돌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여성의 다리에 나타난다. 또한, 겨울철 난로나 전기 히터를 다리 가까이에 두고 지내는 경우, 물리치료 또는 암의 통증 해소를 위해 핫팩이나 온열기 등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도 흔히 볼 수 있다. 열에 노출된 피부에는 처음에 망상의 홍색 반이 생기는데, 계속 장기간 열에 노출되는 경우 멜라닌 축적에 의한 색소 침착이 생기게 된다. 색소침착되는 색깔은 갈색, 암자색, 흑갈색 등 다양하며, 열에 대한 노출이 중단되면 사라지지만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열성홍반에서 편평세포암이 속발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피부 소견

 열에 노출된 후 처음에는 망상(그물 모양)의 홍색 반이 발생하나,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어두운 갈색의 색소침착이 생긴다. 침착되는 색깔은 갈색, 암자색, 흑갈색 등 다양하며 열에 노출이 중단되면 사라지기도 하나,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다.

Erythema Ab Igne Image
사진 2. 대퇴부 피부의 열성홍반


진단

 보통 자세한 문진과 임상 양상으로 진단한다. 확진을 위해 조직생검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외부의 온도 변화와 관련하여 피부에 망상의 반을 형성하는 질환은 열성홍반, 망상청피반, 대리석양피부가 있다. 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성홍반과는 달리 망상청피반과 대리석양피부는 한랭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된다. 망상청피반(Livedo Reticularis)은 동맥염, 한냉글로부린혈증, 동맥경화 등의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망상의 청자색 반이다. 여성과 소아에서 잘 생기며 사지에 나타나고 특히 족관절 부위에 심하며 둔부, 대퇴부, 구간부에도 나타난다. 추운 외부 환경일 때는 청색이 진해지고, 따뜻한 환경에서는 적자색으로 변할 수 있다. 색깔은 지속되지만, 열성홍반에서와 같은 갈색 색소침착은 보이지 않는다. 대리석양 피부(Cutis Marmorata)는 망상청피반과는 달리 추운 환경에서는 청보라색의 반이 생기고 따뜻한 곳에서는 회복되는 생리적 현상을 말한다. 정상 신생아나 성인 여성에게 잘 생기고 망상청피반의 생리적인 형으로 생각된다.

치료

 더 이상의 열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며, 일단 변화가 생기면 보통 불가역적이지만 5% 하이드로퀴논, 0.1% 레티노인산과 0.1% 덱사메타손의 복합제인 Kligman 제제가 때로는 사용될 수 있으며, 큐스위치 엔디야그레이저와 같은 색소 치료용 레이저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피부질환 아틀라스

2022년 11월 7일 월요일

한포진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Pompholyx

한포진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Pompholyx

한포진의 임상 소견 

Clinical Features of Pompholyx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Clinical Features of Pompholyx

Pompholyx image
사진 1. 손의 한포진


증상

 소양감이 동반된 손의 수포성 병변으로 자주 재발한다.

임상 요약

 손가락, 손바닥, 발바닥의 급성, 아급성 또는 재발성 습진으로 비교적 깊게 자리 잡은 가렵고 맑은 수포로 나타난다. 수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설과 균열, 태선화로 진행된다. 주로 12~40세 사이에 호발하며 성별 차이는 없다. 보통 수 주간 지속되며 새로운 수포가 생기면 매우 가렵다. 균열과 이차 감염이 있으면 통증이 있다. 여름철에 악화되거나 재발한다. 땀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증거는 없고, 약 반수의 환자가 아토피의 병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신적 스트레스가 중요한 발병인자가 된다. 원발성 자극 물질, 즉 금속물 취급자, 니켈, 크롬, 코발트, 약제(Neomycin, Aspirin, 피임약), 다한증, 흡연 등이 유발 인자로 제시되기도 한다. 많은 경우에 덮고 습기찬 계절에 발생한다. 2~3주 지나면 자연 치유되나 재발이 원칙이다. 재발까지의 기간은 수 주에서 수개월로 다양하다. 이차 감염이 있으면 경과가 달라지며 간혹 심한 재발성 병변으로 인하여 고통스러운 예도 있다. 손가락의 배부에 생길 경우 조갑이영양증이 올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가벼운 증상에도 올 수있어서 환자들의 가장 심각한 호소가 될 수 있다.

Pompholyx image
사진 2. 손의 한포진

피부 소견

 손(80%)과 발에 분포하고 양쪽에 대칭적으로 발생한다. 초기 발생 부위는 손가락의 측면, 손바닥 및 발바닥이며, 후기에는 손가락 등에도 발생한다. 형태상으로는 초기에 대개 작고(1.0mm) 깊은 투명한 소수포가 군집되어 나타나며, 드물게 소수포가 융합하여 대수포를 형성한다. 또한, 후기 병변은 수포가 터져 미란이 되며, 구진, 인설, 태선화가 온다. 균열은 통증을 일으키고 이차 감염이 있으면 가피와 농포를 보인다.

진단

 표피 내 수포(deep seated vesicle)를 가진 습진성 염증의 소견을 보인다. 병리조직 소견 상 해면상 수포(spongiotic vesicle)가 주로 나타나며, 이는 손발의 각질층이 두터워 수포가 피부 표면으로 터져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손바닥, 발바닥에 생기는 다른 수포성 질환인 백선진, 아토피 피부염, 접촉피부염, 약진, 농포성 건선, 농포성 세균진과 감별하여야 하는데 특징적인 병변과 과거력에 주목하여야 한다.

치료

 다한증, 정신적 스트레스, 금속 알레르기 등의 관련성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급성기에는 휴식을 취하면서 관련 원인을 가능하면 제거시키도록 노력한다. 전신 스테로이드와 국소 스테로이드를 병용하면 효과가 가장 빠르나 재발을 막지는 못하고 부작용이 크므로 국소 스테로이드 요법을 많이 시행한다. 이차 세균 감염 시 항생제를 경구 및 도포한다.



피부질환 아틀라스

2020년 9월 16일 수요일

배꼽 돌 - 제석(Omphalith)

배꼽 돌 - 제석(Omphalith)

제석(Omphalith)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제석(Omphalith) 이미지
사진1. 제석(Omphalith)

 제석은 각질과 피지의 축적으로 형성된 돌과 같이 단단한 흑갈색의 결석과 같은 물질을 말하며, 'Omphalolith', 'Keratolith', 'Omphalokeratolith' 또는 'Umbolith'라고도 부른다. 배꼽은 대개 움푹 들어가 있으므로 때가 잘 끼고, 좋지 않은 냄새가 나기 쉽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배꼽을 물로 씻으면 물이 배 안으로 들어갈 것으로 잘못 생각하거나, 배꼽때는 파내는 게 아니라고 하여 방치함으로써 많은 세월이 흐르면서 딱딱한 상태로 배꼽에 꼭 박혀 있게 된다. 외국에서는 무척 드문 질환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배꼽을 씻는 것을 금기시하는 몇몇 국가에서는 꽤 흔히 발견될 것으로 생각된다. 

 배꼽은 태생기의 제대 부착부가 출생 후 흔적으로 남은 부위로서 아랫부분은 피부부속기가 없는 반흔 조직이지만, 측벽에는 피부부속기인 에크린땀샘, 모낭, 피지샘, 아포크린땀샘 등이 비교적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제석은 탈락된 피부 각질과 측벽에 존재하는 피지샘 및 땀샘으로부터 분비되는 물질이 축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석의 임상적 특징은 발견되기 전까지 수개월 내지 수년 동안 점차 커져서 무통성인 흑갈색의 돌과 같이 단단한 물질로서 제와에 잘 부착되어 있고, 때로는 이차적인 세균감염이나 궤양을 형성하여 통증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이차적인 감염 및 궤양이 없더라도 우연히 목욕 후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데, 그것은 목욕으로 인해 제석의 부피가 증가하여 주위 조직을 압박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배꼽 화농육아종이나 연조직염의 발생도 보고되어 있다. 


배꼽의 제석
사진2. 제석(Omphalith)


배곱에 생긴 제석
사진3. 제석(Omphalith)


병리조직학적으로 핵이 없는 탈락된 각질세포와 피지 등의 분비물이 빽빽히 밀집해 있고 일부 멜라닌 색소 과립이 나타나 있는 내부 소견에 비해, 외부는 비교적 치밀도가 감소되어 층을 이루고 있다. 진단은 일반적으로 문진과 시진만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치료는 통상 단순적출로 가능하며, 마취는 필요치 않다. 그러나 염증성 변화가 동반된 경우라면 적출 후 항생제를 경구투여하거나 항생제 혹은 스테로이드연고를 국소도포한다. 


배꼽의 제석 제거 이미지
사진4. 제석의 제거


배꼽에서 제거된 제석 이미지
사진5. 쉽게 제거되는 제석의 경우



참고문헌

1. 이재조, 이승철, 원영호, 전인기, 김영표. 제석(臍石)(Omphalith) 1예. 대한피부과학회 초록집 1988; 26 (20): 69.
2. 하범석, 전인기, 김영표. 제석(臍石)( Omphalith )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9; 27 (3): 325-8.

*1. Cohen PR, Robinson FW, Gray JM. Omphalith-associated relapsing umbilical cellulitis: recurrent omphalitis secondary to a hair-containing belly button bezoar. Cutis 2010; 86 (4): 199-202.
*2. Ichiki Y, Kitajima Y. Omphalith. Clin Exp Dermatol 2009; 34 (3): 420-1.
*3. Imaizumi T: A case of omphalith in a patient with seborrheic keratosis of the umbilicus, Ann Dermatol Venereol 1989; 116 (1): 27-8.
*4. Kumar SK, Reddy CO, Reddy K. Omphalolith. Indian J Surg 2011; 73 (3): 238-9. 
*5. Swanson SL; Woosley JT; Fleischer AB Jr; Crosby DL: Umbilical mass. Omphalith. Arch Dermatol 1992; 128 (9): 1267, 1270.
*6. Yoshida Y, Yamamoto O. Umbilical pyogenic granuloma associated with occult omphalith. Dermatol Surg 2008; 34: 1613-4. 

2020년 9월 8일 화요일

소아기굽힘쪽면포(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소아기굽힘쪽면포(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소아기굽힘쪽면포

(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면포는 여드름의 움직일 수 없는 증거로서 일반적으로 얼굴, 등, 가슴 등의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지만 산재된 면포는 Familial dyskeratotic comedones, idiopathic disseminated comedones, extensive nevus comedonicus 등과 같은 다른 피부질환에서도 발견되며, 또한 광손상이나 방사선치료, 외상, 화농땀샘염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면포가 발생하기도 한다. 소아기굽힘쪽면포는 2007년 Larralde 등에 의해 굽힘쪽에 위치하며 어린 나이에 생기므로 'Childhood flexural comedones'로 처음 명명되었다. 소아기굽힘쪽면포는 두 개의 개구부가 표피의 얇은 층에 의해 연결되며 그 아래 면포 내용물이 들어있다. 여아와 남아에서 비슷한 발생률을 보이며, 2세~15세 사이(평균 6.2세)의 아동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72%에서 단일 병변, 80%에서 일측성으로 나타난다. 환자의 88%에서 겨드랑이에 병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이미지
사진 1. 겨드랑이에서 관찰되는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원인은 명확치않으며, 화농땀샘염이나 물사마귀와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고 마찰과 같은 국소 외상에 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분명하지 않다. 소양감이나 통증과 같은 별 자각증상이 없으므로, 대개 부모가 목욕 중 발견하여 내원하거나, 다른 피부질환의 진찰 중 의사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2008년 Pitarch 등은 5세 소아의 발생예와 함께 25세 및 40세 남녀 성인의 증례를 보고하면서 소아기굽힘쪽면포는 청소년기나 성인기의 여드름 또는 화농땀샘염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이 질환이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고, 두 개의 개구부를 가진 면포가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10배 확대 이미지
사진2.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x10)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60배 확대 이미지
사진3.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x60)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면포추출기 압출 이미지
사진4.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압출


 진단은 신체의 굽힘쪽 부위에 두 개의 개구부가 얇은 표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아래 면포 내용물이 들어있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 육안진찰로 가능하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모낭누두부의 확장과 모낭 내부의 각질전이 확인된다. 면포제거기나 면봉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내용물이 압출되지만, 확실한 치료는 병변의 절제이다.


참고문헌

*1. Brandrup F, Asschenfeldt P. Molluscum contagiosum-induced comedo and secondary abscess formation. Pediatr
Dermatol. 1989; 6: 118-21.
*2. Cho SB, Lee SH, Jung JY, Oh SH. A case of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9; 23 (3): 366-7.
*3. Fletcher CL, Acland KM, Powles AV. Unusual giant comedo naevus. Clin Exp Dermatol 1999; 24: 186–8.
*4. Hallermann C, Bertsch HP. Two sisters with familial dyskeratotic comedones. Eur J Dermatol 2004; 14: 214–5.
*5. Jemec GB, Heidenheim M, Nielsen NH. The prevalence of hidradenitis suppurativa and its potential precursor lesions. J Am Acad Dermatol 1996; 35: 191-4.
*6. Larralde M, Abad ME, Muñoz AS, Luna P.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Arch Dermatol 2007; 143: 909–11.
*7. Lefkowitz A, Schwartz RA, Lambert WC. Nevus comedonicus. Dermatology 1999; 199: 204–7.
*8. Pitarch G, Pitarch A, Sánchez-Motilla JM. Flexural Comedones. Actas Dermosifiliogr 2008; 99: 824.
*9. Zhang RZ, Zhu WY. Idiopathic disseminated comedones in a child. Pediatr Dermatol 2006; 23: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