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2일 월요일

미백 물질 - 글라브리딘 (Whitening substance - glabridin)

미백 물질 - 글라브리딘 (Whitening substance - glabridin)

글라브리딘 (Glabridin)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글라브리딘 화학구조식 이미지
글라브리딘 화학구조식


 감초(Licorice or liquorice)는 'sweet root'를 의미하는 그리이스어 'glukurrhiza'에서 유래된 이름인 Glycyrrhiza glabra라는 명칭을 가진 약용식물을 말하며, 약 6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Zhou SF 등, 2007).

  글라브리딘(glabridin)은 감초추출물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미백성분으로, 멜라닌합성 과정에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한다. 하지만 DNA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세포독성을 지니지 않는다(Wenyuan Z 등, 2008). 동물실험에서 기니아피그의 피부에 0.5% 글라브리딘을 도포하면 자외선 B에 의해 형성되는 홍반과 색소가 억제되는 것이 발견되었고, 시험관내에서 초과산화물 음이온의 생성과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의 활성 억제는 글라브리딘이 항염증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Yokoda T 등, 1998).

  그러므로 글라브리딘은 멜라닌합성의 억제 뿐만이 아니라 피부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Leslie B, 2004), 기미뿐만이 아니라 염증후 과색소침착에 대한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다(Deprez P, 2006).

 감초추출물 중 다른 활성물질인 glabrene, isoliquiritigenin licuraside, isoliquiritin, licochalcone A 또한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한다(Fu B 등, 2005). liquiritin은 티로시나제에 대한 효과는 없으나 다른 기전에 의해 탈색반응을 일으켜, 20% liquiritin 크림을 4주간 하루 1그램씩 사용한 결과 기미가 효과적으로 치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Mohamed A 등, 2000).  

정종영의 저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