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일 월요일

피부의 분류에 대하여

피부의 분류에 대하여

피부의 분류에 대하여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광선 치료 이미지
광선치료



 임상적 피부관리는 의사가 환자의 연령이나 피부타입 등을 고려하여 피부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피부진단을 실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학에 기초를 둔 피부관리 프로그램을 처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한 육안적 진찰은 환자가 호소하는 개개의 피부 병변에 대한 진단적 특징을 파악하기에 앞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광범위하게 관찰하고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그 후 피부 병변을 포함하여 주위 부분까지 피부 표면을 분할하여 각 부분마다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각각의 눈 주위를 먼저 보고, 다음 순서로 코, 입, 뺨 그리고 관자놀이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세심한 관찰에 의해 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분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기존의 피부분류 체계에 있어서 피부를 분류하는 기준은 외형과 피부색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공통된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즉, 특정한 피부타입에 적합한 시술, 자연스러운 모습을 유지하면서 최선의 시술 결과를 가져오는데 필요한 피부 시술의 깊이, 다양한 피부타입에 필요한 시술 전후 처치의 종류, 시술 이후에 예상되는 반응 및 그에 대한 치료와 같은 피부시술과 관련된 요인들이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기존의 피부분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새로운 피부분류 체계는 피부 색깔(color), 피부 두께(thickness), 유분 정도(oiliness), 여린 정도(fragility), 이완 정도(laxity)로 피부를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오바지 피부분류체계(Obagi skin classification system)는 TCA 필링이나 피부연마술(dermabrasion), CO₂레이저 등의 (1) 시술 전후 처치(pre- and postoperative skin conditioning), (2) 시술에 대한 반응(reaction to procedures), (3) 시술 후 관리(postprocedure management)에 대한 다양한 인자들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확립되었다.



정종영 저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