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5일 목요일

(3) 한랭두드러기와 열두드러기 (Cold urticaria and heat urticaria)

(3) 한랭두드러기와 열두드러기 (Cold urticaria and heat urticaria)

(3) 한랭두드러기와 열두드러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찬물에 노출된 후 발생한 한랭두드러기 이미지
찬물에 노출된 후 발생한 한랭두드러기


A. 한랭두드러기(Cold urticaria)
 춥고 차가움에 노출될 때 노출 부위에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한랭두드러기는 물리적 두드러기의 한 유형으로서 전체 만성 두드러기의 1~3%를 차지한다. 후천성한랭두드러기, 가족성한랭두드러기, 반사성한랭두드러기, 지연성한랭유발성두드러기 등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가지지만 대부분이 후천성으로 나타나고, 매우 드물게 유전적으로 발생한다.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환자의 약 반수에서 수동전이가 가능하며 IgE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보통 찬 공기, 찬물, 얼음 등에 노출되면 두드러기가 나타나는데, 노출된 후 몸이 다시 더워질 때 두드러기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빈백,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전신이 한랭에 노출되는 수영이나 냉수욕 등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두드러기 환자에서 다른 유형의 물리적 두드러기가 동반될 수 있는데 한랭두드러기 환자의 1/3에서 피부묘기증, 열두드러기, 압박두드러기 및 콜린성 두드러기가 동반된다.
 특히 한랭 자극에 의해 콜린성두드러기 형태의 피부발진을 보이는 한랭유발성콜린성두드러기는 후천성한랭두드러기의 드문 형으로 한랭두드러기의 0.9%에서 관찰된다. 가족성한랭두드러기는 일반적인 한랭두드러기와는 달리 상염색체 우성 유전되며 가려움증보다는 작열감이 주된 피부 증상이고 두통, 오한, 발열, 관절통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에 백혈구증가증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소한랭두드러기는 후천성한랭두드러기의 한 아형으로 찬물, 얼음, 급격한 온도변화 후 특정 부위에만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B. 열두드러기 (Heat urticaria)
 열두드러기는 열과 접촉된 부위에만 국한하여 국소적으로 두드러기가 발생되며 1924년 Duke가 처음 기술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약 50예 정도가 보고된 매우 희귀한 질환이다. 열의 발생에 의해 전신 체온이 상승할 때 나타나고 열두드러기의 전신형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콜린성두드러기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열두드러기의 발생기전은 정확히 이해되지 않고 있지만 열에 노출된 후 나타나는 혈장 내 히스타민과 프로스타글란딘 D2의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뜨거운 목욕, 일광, 오븐 증기, 헤어드라이기, 뜨거운 기구 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여성에서 더 잘 생기며 다른 물리적 두드러기와 아토피를 동반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진다. 열에 노출되고 15분 이내에 두드러기가 나타나고 전신증상을 동반하는 즉시형과 열에 노출된 후 30분에서 수 시간 사이에 두드러기가 발생하며 전신 증상이 동반되지 않고 아토피와 연관도 없는 지연형으로 분류된다. 전신 증상으로 오심, 구토, 두통, 현기증, 호흡곤란 및 의식소실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1. 양진석, 박현정, 변대규. 한랭 두드러기와 콜린성 두드러기가 동반된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3; 41 (1): 123-6.
2. 엄주용, 유한동, 김낙인, 허충림. 한냉 두드러기와 동반된 저보체혈증 담마진성 혈관염 증후군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92; 30 (1): 87-92.
3. 이석종, 나종희, 전재복, 정상립. 가족성 한냉두드러기로 사료되는 1예 - 문헌고찰 및 후천성 한냉두드러기와의 비교 -. 대한피부과학회지 1993; 31 (1): 87-91.  
4. 이애영, 황규왕, 김계정. 약물발진, 홍반 및 두드러기. In: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6판. 도서출판 대한의학 2014: 293.
5. 장호선. 물리 두드러기.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004; 2 (3): 27-30.
6. 정혜진, 이민걸. 국소 한랭 두드러기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3; 41 (11): 1571-3.
7. 조계은, 조정구, 김영래, 우태하. Cold Urticaria - ( Ice Cube Test and Treatment ) - . 대한피부과학회지 1970; 8 (2): 47-9.

*1. Atkins PC, Zweiman B. Mediator release in local heat urticaria. J Allergy Clin Immunol 1981; 68: 286–9.
*2. Chung HS, Lee KH, Ro JY. Heat contact urticaria—a case report. Yonsei Med J 1996; 37: 230–5.
*3. Daman L, Lieberman P, Ganier M, Hashimoto K. Localized heat urticaria. J Allergy Clin Immunol 1978; 61: 273–8.
*4. Delorme P. Localized heat urticaria. J Allergy 1979; 53: 284–91.
*5. Duke WW. Urticaria caused specifically by action of physical agents. J Am Med Assoc 1924; 83: 3–8.
*6. Fukunaga A, Shimoura S, Fukunaga M, Ueda M, Nagai H, Bito T, Tsuru K, Ichihashi M, Horikawa T. Localized heat urticaria in a patient is associated with a wealing response to heated autologous serum. Br J Dermatol 2002; 147 (5): 994-7.
*7. Grant JA, Findly SR, Thueson DO et al. Local heat urticaria/ angioedema: evidence for histamine release without complement activ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981; 67: 75–7.
*8. Greaves MW, Sneddon IB, Smith AK, Stanworth DK. Heat urticaria. Br J Dermatol 1974; 90: 289–92.
*9. Irwin RB, Lieberman P, Friedman MM et al. Mediator release in local heat urticaria: protection with combined H1 and H2 antagonists. J Allergy Clin Immunol 1985; 76: 35–9.
*10. Koro O, Dover JS, Francis DM et al. Release of prostaglandin D2 and histamine in a case of localized heat urticaria, and effect of treatments. Br J Dermatol 1986; 115: 721–8.
*11. Leigh IM, Ramsay CA. Localized heat urticaria treated by inducing tolerance to heat. Br J Dermatol 1975; 92: 191–4.
*12. Starr JC, Brasher GW, Hammerschmidt DE. Localized heat urticaria. Ann Allergy 1985; 44: 164–5.
*13. Tatnall FM, Gaylarde PM, Sarkany I. Localized heat urticaria and its management. Clin Exp Dermatol 1984; 9: 367–74.
*14. Wise RD, Malkinson FD, Luskin A et al. Localized heat urticaria. Arch Dermatol 1978; 114: 1079–80.

정종영의 저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