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5일 월요일

자외선A 차단지수와 자외선A 차단등급

자외선A 차단지수와 자외선A 차단등급

자외선A 차단지수와 자외선A 차단등급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자외선A 차단지수와 자외선A 차단등급 비교 이미지

자외선A 차단지수

 자외선A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of UVA, PFA, UVA-PF)는 자외선A를 차단하는 자외선차단제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지속형색소침착(persistent pigment darkening, PPD)측정법은 자외선A의 차단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B에 대한 SPF 산출방법과 유사하게, 자외선A는 색소침착과 관계가 많으므로 자외선차단제를 바른 피부와 바르지 않은 피부의 최소지속형색소침착량(minimal persistent pigment darkening dose, MPPD)의 비율로 산출하며 수치로 표시한다.


자외선A 차단등급

 자외선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은 PPD측정을 통해 얻은 자외선A 차단지수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이다. 즉, 자외선A의 차단 효과를 수치로 표시하지 않고 차단정도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으로, PA에는 3가지 단계가 있어서 PA+, PA++, PA+++로 표기한다. +가 많을수록 더 높은 자외선A 차단 효과를 보이게 된다. 자외선A의 강도는 연중 큰 변화가 없으며, 유리창을 통과하므로 실내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자외선A 차단지수를 측정하여 그 등급을 표시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