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여드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여드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3일 수요일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비후성 여드름 흉터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비후성 여드름 흉터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비후된 여드름흉터(Hypertrophic acne scar) 


여드름 비대흉터 이미지
여드름 비대흉터


 (1) 비대흉터(Hypertrophic scar)

 비대흉터(비후성 반흔)는 여드름 염증성 병변의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융기된 흉터를 말하며, 염증성 병변의 면적를 넘어서 확장되는 켈로이드성 흉터와 구별된다.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치 않으나 발생 부위의 조직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 조직장력이 커지는 경우 섬유모세포가 필요 이상의 콜라겐섬유를 만들어낸다. 최근 전환성장인자-베타(TGF- β)가 병인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비대흉터는 혈관신생이 뚜렷한 섬유성 조직으로 나타나는데, 보통 단단하거나 초기 염증성병변과 같은 크기의 단단한 구진이나 결절의 형태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분홍빛을 띤다.

여드름 켈로이드흉터 이미지
여드름 켈로이드흉터

(2) 켈로이드성 흉터(Keloidal scar)

 켈로이드는 흉터를 유발시키는 여드름 염증성 병변의 경계를 넘어서 그 면적보다 더 넓고 크게 확장되는 특징을 보인다. 혈관신생이 비대흉터에 비해 미약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대흉터와 매우 유사하다. 비대흉터에 비해 켈로이드성 흉터는 불규칙한 모양을 보이고, 자연소실되지 않으며, 자극에 의해 점차 성장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병변의 색조는 붉은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는 창백한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여드름에 의해 발생되는 켈로이드성 흉터는 주로 응괴성여드름에 의해 흉부나 등에 잘 생기지만, 얼굴에 발생하기도 한다.


의학적 피부관리

2024년 3월 12일 화요일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뚜껑마차형 흉터 (boxcar scar)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뚜껑마차형 흉터 (boxcar scar)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boxcar scar image
뚜껑마차형 흉터 (boxcar scar)


뚜껑마차형 흉터 (boxcar scar)

 뚜껑마차형 흉터는 각이 지고 바닥이 편평한 뚜껑이 있는 마차 형태의 흉터로, 깊이가 0.1~0.5mm의 얕은 형태와 0.5mm 이상의 깊은 형태로 구분하는데, 얼음송곳형 흉터보다 개구부의 폭이 넓으나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의학적 피부관리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기복있는형 흉터 (rolling scar)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기복있는형 흉터 (rolling scar)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rolling scar image
기복있는형 흉터 (rolling scar)


기복있는형 흉터(rolling scar)
기복있는형 흉터는 얕고 둥글넙적한 바닥을 보이며 기복이 완만한 형태의 흉터로, 4~5mm 이상의 넓은 폭을 가지며 진피에서 피하지방층 방향으로 비정상적 섬유성 고정밴드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흉터의 깊이 자체는 얕으나 진피를 하방으로 잡아끄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의학적 피부관리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여드름 흉터의 종류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여드름 흉터의 종류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얼굴의 여드름 흉터 이미지
얼굴의 여드름 흉터

4. 여드름 흉터 - 여드름흉터의 종류

 위축성 여드름흉터는 창상 후 조직의 위축 및 소실로 발생하며, 대개 얼음송곳모양(icepick) 흉터, 기복있는모양(rolling)흉터, 뚜껑마차모양(boxcar)흉터로 구분한다. 여드름으로 인한 염증의 깊이와 범위가 추후 생길 흉터의 깊이, 형태, 숫자를 결정한다. 드물지만 오히려 비후된 흉터도 발생하는데, 이는 창상후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에 의해 비대흉터 또는 켈로이드가 발생할 수 있다. 
의학적 피부관리

2024년 3월 11일 월요일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여드름 흉터 치료의 개념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 여드름 흉터 치료의 개념

여드름 후유증 

4. 여드름 흉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여드름 흉터 치료 - 정종영 원장 이미지



여드름 흉터 치료의 개념 

 여드름 치료나 관리를 상담하러와서 망설이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필자는 이 상황의 방치는 반드시 여드름 흉터와 같은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한다. 학생시절 조금만 신경써서 여드름 치료를 받는다면, 성인이 되어 얼굴에 생긴 여드름 흉터로 낭패감에 빠지지 않을 것이고, 또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큰 고통을 겪으며 여드름 흉터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무엇보다도 예방이 최고다.

 또한 개원가에서, 특히 임상적 피부관리를 시행하는 병의원에서, 막상 환자가 진료실을 찾았는데 여드름 치료 및 관리에 있어서 소극적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여드름 치료에 완벽하고 효과적인 단일 치료법은 없지만, 여드름을 적기에 치료받지 않아 흉터가 남거나 정신적 상처를 받지 않도록 의사로서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해 나가야 한다.

 여드름을 앓고 난 후 생기는 여드름 흉터는 심하게 곪은 여드름으로 인해 피부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심재성농포나 결절이 피부 속으로 터지면서 발생한다. 특히 심재성의 염증이 심한 여드름을 불결한 손이나 소독되지 않은 기구로 짜는 경우에 잘 생긴다. 여드름 흉터는 창상 후 조직의 위축 및 소실(예컨대, 얼음송곳형 흉터),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예컨대, 비대흉터)라는 크게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이처럼 여드름 흉터가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여드름이 곪지 않도록 초기에 적절하게 치료받아야 한다. 또한 이미 염증이 생긴 경우라도 효과적인 치료를 받아 그 후유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 흉터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는 심한 염증성 여드름 병변이 선행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광범위한 병변이나 결절성 여드름 없이도 흉터가 남기도 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진과 농포가 흉터를 남기게 되므로 치료 시 유의해야 한다.

  여드름 흉터는 환자에 따라 흉터 부위, 깊이, 숫자, 형태가 다르므로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치료법이 병행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일상생활을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단순한 개별적 여드름 흉터의 형태학적 분류단계에서 벗어나, 적절한 치료 방법의 제시를 위해 여드름 흉터의 심한 정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는 qualitative grading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의학적 피부관리

여드름 후유증 1. 심리적 문제

여드름 후유증 1. 심리적 문제

여드름 후유증 

1. 심리적 문제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여드름 후유증으로 생긴 넓은모공 이미지
여드름 후유증으로 생긴 넓은모공



 여드름이 초래하는 다양한 후유증 중에 첫번째는 심리적인 문제이다. 즉, 여드름의 발생과 그 경과에 있어서 결코 정신적인 측면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감정적인 문제는 여드름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또한 기존의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당질코티코이드와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다량 분비되며, 부신에서 안드로겐의 분비도 증가한다. 이처럼 혈중의 당질코티코이드와 안드로겐 수치의 증가가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여드름이 장기간 지속되면 환자는 스스로의 외모에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이 심해져 대인관계를 회피하므로써, 사회공포증이나 우울증같은 정신과적인 문제로 발전할 위험성을 늘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강박 장애나 정신병과 같은 일차적인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는 여드름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한 반응을 일으켜 심하게 긁고 반복적으로 딱지를 떼어내어 병변을 악화시키며 궁극적으로 외모의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감정적 요인이 여드름 발생을 촉진시키고 또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러한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여드름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성취감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기대치를 낮추도록 조언하고, 환경 적응을 위한 자기 노력을 부추기며, 약물 복용과 이완, 그리고 명상 등의 방법도 여드름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의학적 피부관리

여드름의 후유증 - 여드름으로 초래되는 문제들

여드름의 후유증 - 여드름으로 초래되는 문제들


여드름으로 초래되는 문제들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여드름 짜기 이미지


 
1. 심리적인 문제

 여드름이 초래하는 다양한 후유증 중에 첫 번째는 심리적인 문제이다. 즉, 여드름의 발생과 그 경과에 있어서 결코 정신적인 측면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감정적인 문제는 여드름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또한 기존의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당질코티코이드와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다량 분비되며, 부신에서 안드로겐의 분비도 증가한다. 이처럼 혈중의 당질코티코이드와 안드로겐 수치의 증가가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여드름이 장기간 지속되면 환자는 스스로의 외모에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이 심해져 대인관계를 회피하므로써, 사회공포증이나 우울증같은 정신과적인 문제로 발전할 위험성을 늘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강박 장애나 정신병과 같은 일차적인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는 여드름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한 반응을 일으켜 심하게 긁고 반복적으로 딱지를 떼어내어 병변을 악화시키며 궁극적으로 외모의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감정적 요인이 여드름 발생을 촉진시키고 또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러한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여드름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성취감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기대치를 낮추도록 조언하고, 환경 적응을 위한 자기 노력을 부추기며, 약물 복용과 이완, 그리고 명상 등의 방법도 여드름 치료에 도움이 된다.


2. 여드름 홍반

 여드름을 방치하거나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피부에 후유증이 남게 되는데, 그중 가장 흔한 후유증이 얼굴에 붉은 색이 지속되는 홍반(erythema)이다. 이처럼 붉은 색의 여드름 자국이 생기는 이유는 염증성 여드름 병변으로 인해 정상 세포가 파괴되고 염증 세포가 모여들며 새로은 피부 조직과 혈관들이 자라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드름 홍반은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여드름이 재발하지만 않는다면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가 지나면 저절로 없어지거나 엷어진다.

 하지만 흉터처럼 남은 너무 심한 붉은 자국은 경우에 따라 수 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미용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여드름으로 인한 홍반을 효과적으로 없애려면, 염증을 가라앉게 하는 약물 요법을 시행하고 혈관레이저나 IPL 시술 등이 필요할 수 있으며 적절한 피부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IPL 은 최근 연구에 의하면 염증성 병변의 50% 감소를 보이며, 특히 붉은 여드름 자국에는 그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홍반을 감소시키기위한 효율적인 피부관리가 필요한데, 홍반 피부관리의 기본은 원인에 따른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고, 적절한 수분공급을 통해 홍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피부가 민감해져 있으므로 장비를 이용한 자극적인 치료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효과적인 진정과 보습을 위해 팩(마스크), 헬륨네온 레이저나 바이옵트론 요법, 비타민 K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여드름 색소침착

 여드름에 의한 또 다른 후유증은 여드름 발생 부위에 남게되는 염증 후 과색소 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이다. PIH 는 Postinflammatory Pigment Alteration(PIPA)으로도 불리는데, 여드름뿐만이 아니라 습진, 알레르기 반응 등을 포함한 다양한 피부질환에서 나타나며 화상, 외과수술, 외상이나 박피 및 레이저 치료와 같은 피부에 침습이 가해지는 여러가지 상황에서 유발될 수 있다.

 멜라닌세포는 피부의 기저층에 산재해 있으며, 기저세포와 멜라닌세포의 구성비율은 통상 10:1 이다. 여드름이 생기면 모공주위로부터 염증이 생기고, 이 염증으로 인해 멜라닌세포는 계속 활성화되며, 시간이 흐르면서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인 기저막이 파괴되면서 표피에 있던 멜라닌색소가 진피내로 이동하게 된다. 치료를 통해 염증을 가라앉히면 손상된 기저세포와 멜라닌세포가 재생되지만 이미 활성화된 멜라닌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멜라닌색소를 훨씬 많이 만들어내게 되어 여드름 상처가 회복되는 곳의 피부가 진한 갈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PIH 는 피부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멜라닌 합성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결과이다. 그것은 넓게 분포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생기기도 하는데 그 분포의 정도는 원래 손상의 위치에 따라 분포하게 된다.

 여드름 색소침착은 여드름 발생 나이가 많을수록, 염증이 심할수록, 피부색이 진할수록 잘 생기며 자외선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멜라닌 생성이 많아져 더 심해지게 된다. 또한 여드름을 손으로 쥐어 뜯거나, 무리하게 손으로 짜는 경우 잘 생길 수 있다. 특이한 경우이기는 하지만 찰상성 여드름은 환자 스스로 얼굴을 손상하는 반복되는 강박적 습관을 가지고 있다. 감정적 장애를 감추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간주되며 정신과적인 조언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일부 환자의 경우 심한 염증후 과색소침착이 동반된다.

 일반적으로 약 6개월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색소가 옅어지지만 심한 경우에는 6개월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처럼 여드름 자리에 발생한 색소침착은 다른 염증후 과색소침착(PIH)와 동일하게 치료 및 관리한다. 얼굴의 색소성 병변이나 색소침착을 없애고 티하나 없는 옥같은 피부를 가지고자 하는 욕구는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의 소망이다. 피부 미백관리는 잡티나 주근깨, 기미 등의 색소성 병변이나 여드름에 의한 염증후 색소침착을 감소시키기위해 시행된다.

 물론 얼굴의 색소성 병변의 경우 필링이나 레이저 치료(IPL 포함) 또는 약물치료(레티노이드나 하이드로퀴논)등이 선행되지만, 시술후 피부관리 및 홈케어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피부 미백관리에 있어서는 다른 관리에서 보다 자외선 차단이 대단히 중요시 된다. 색소성 병변에 대한 피부 미백관리의 기본은 미백약물의 투입과 보습 관리이다. 흔히 비타민 C 나 그외 미백에 도움을 주는 약물을 이온영동법이나 초음파영동법, 메조테라피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부 내에 투여한다.

 또한 얕은 화학박피술을 시행하여 미처 탈락하지 못한 각질세포를 탈락시키거나 각질층의 색소침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필링이나 레이저에 의해 추가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과정을 더 악화시킬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4. 여드름 흉터

 여드름을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 및 관리해 나가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물론 아직까지 여드름 치료에 완벽하고 효과적인 단일 치료법은 없지만, 여드름을 적기에 치료받지 않아 흉터를 남기고 이로인해 정신적 상처를 받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해 나가야 한다. 여드름을 앓고 난 후 생기는 흉터는, 심하게 곪은 여드름으로 인해 피부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농포나 결절이 피부 속으로 터지면서 발생한다. 특히 심재성의 화농이 심한 여드름을 불결한 손으로 짜는 경우에 잘 생긴다.

 여드름 흉터는 창상 후 조직의 위축 및 소실(예컨대, ice-pick scar, atropic macular scar, perifollicular elastolysis),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예컨대, hypertrophic scar, keloid scar)라는 크게 두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여드름 흉터가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여드름이 화농하지 않도록 초기에 효과적으로 치료받아야 한다. 또한 염증이 생긴 경우라도 적절하게 치료를 받아 그 후유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 흉터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는 심한 염증성 여드름 병변이 선행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광범위한 병변이나 결절성 여드름없이도 흉터가 남기도 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진과 농포가 흉터를 남기게 되므로 치료시 유의해야 한다.

 여드름 흉터는 대부분이 조직의 위축 및 소실로 발생하며 이러한 위축성 여드름 흉터는 대개 얼음송곳(ice-pick)흉터, 기복이 있는(rolling)흉터, 뚜껑마차(boxcar)흉터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으로 인한 염증의 깊이와 범위가 추후 생길 흉터의 깊이, 형태, 숫자를 결정한다.

 'ice-pick' 흉터는 얼음송곳으로 찔러놓은 것처럼 2mm 정도의 좁은폭과 깊고 예리하게 각이 진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심부 진피나 피하지방층까지 내려와 일반적인 피부 박피술을 행할 수 있는 깊이보다 더 깊다.

 'rolling' 흉터는 기복이 있는 형태로 4~5mm 이상의 넓은 폭으로 진피에서 피하지방층 방향으로 비정상적 섬유성 고정밴드가 형성되어 발생하는데, 흉터자체는 얕으나 진피를 하방으로 잡아끄는 형태가 되어 치료가 어렵다.

 'boxcar' 흉터는 뚜껑이 있는 마차 형상처럼 둥글면서 난원형의 형태로 예리하게 각이 진 경계를 보이며 수두자국과 유사하다. 0.1~0.5mm 의 얕은 형태와 0.5mm 이상의 깊은 형태로 구분하는데, ice-pick 흉터보다 폭이 넓으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고 얕은 경우에는 피부 박피술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깊은 형태의 흉터는 치료가 어렵다.

 드물게 여드름의 흉터는 위축되기보다는 두꺼워진다.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비후성 반흔(hypertrophic scar)과 켈로이드성 반흔(keloidal scar)이 그것으로, 혈관신생이 뚜렷한 섬유성 조직으로 나타난다. 비후성 반흔은 일반적으로 초기의 염증성 병변과 같은 크기의 단단한 구진이나 결절의 형태이고 표면은 매끄럽고 분홍빛을 띤다. 켈로이드는 본래의 염증성 병변보다 면적이 더 넓게 크게 확장되며, 혈관신생이 비후성 반흔보다 미약한 점을 빼고는 매우 유사하다. 켈로이드는 비후성 반흔보다 불규칙한 모양을 보이며 자연 소실 없이 자극에 의해 점차 성장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병변의 색조는 붉지만 드물게 창백한 양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여드름 흉터는 환자에 따라 흉터 부위, 깊이, 숫자, 형태가 다르므로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치료법이 병행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일상 생활을 고려해서 치료방법을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여드름 흉터의 개선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치료법은 기계적 박피술, 화학박피술, 레이저박피술, 고주파치료기(반복적으로 투과시켜 심부 흉터를 재생), 주름절제술(귀 방향으로 피부를 위쪽,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묶는 방법), 흉터하부 박리술(rolling scar 의 섬유성 띠를 삼각모양의 피하 바늘로 제거하는 방법), 펀치 시술법(펀치 절제술, 펀치 높임술, 펀치 이식술), 심부 자가이식 보충물질(혈액주입법, 진피이식술, 지방이식술)이나 기타 조직확대 물질(교원질 추출물질, 비교원질 보충물질)의 사용 등이다.

 이러한 치료 중에서, 진피 깊숙히 인위적인 손상을 주고 재생을 유도하는 깊은 필링에 속하는 도트필링(dot peeling)은 여드름을 앓고 난후 생기는 깊고 좁은 여드름 흉터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일차진료에서 편하게 시술할 수 있다. 70% 이상의 TCA 를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흉터의 바닥에 찔러 넣어준다. 흉터의 바닥이 깊을수록 양을 많이 넣어주고 단단할수록 강하게 찌른다. TCA 로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흉터부위의 염증이 진피에 위치한 섬유모세포를 자극하여 교원섬유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이렇게 증가된 교원섬유는 흉터부위의 진피를 두껍게 해 함몰된 부위가 솟아오르게 된다. 1~2개월 간격으로 반복한다. 5-10회 시술후, 치료효과가 6개월 지속될 수 있으므로 그후에 치료 판정을 한다. TCA 가 강한 농도일수록 치료효과가 더 좋았다고 보고되고 있다.

5. 넓어진 모공

 일반적으로 모공이 지나치게 넓어져 눈에 쉽게 띄거나, 화장으로 잘 감추어지지 않는 경우를 넓은 모공(enlarged pore)이라고 말한다. 여성들에게 있어 기미, 잔주름에 이어 넓은 모공은 피부 고민 중 세번째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가져다 준다.

 보통 ㎠ 당 100~120개의 모공이 존재하니 얼굴에만도 2만 개가 넘는다. 모공의 지름은 0.02~0.05㎜인데,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 성별로는 남성이, 피부타입별로는 지성 피부인 사람의 모공이 더 크다. 넓은 모공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1) 과다한 피지 분비, (2) 심한 여드름, (3) 노화와 연관이 있으며 그 외에도, (4) 잘못된 화장품의 사용, (5) 모공 속의 노폐물 등도 모공의 크기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생리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가 비교적 까다롭고 오랜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피부상태와 원인에 따른 꾸준한 치료와 관리로 더 나은 상태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모공은 피지 분비의 통로인데, 피지가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면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인에 대한 치료로 과다한 피지 분비를 억제하기 위해 비타민 A 유도체를 이용한 약물치료가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자주 사용된다. 여드름은 모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므로 심한 여드름은 결국 모공을 넓게 만든다. 그러므로 여드름에 대한 초기의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넓은 모공을 막을 수 있게 한다.

 그 외에도 모공을 지탱하고 있는 주위 조직의 탄력이 저하되면 모공이 넓어지므로 노화 및 탄력저하가 원인인 경우에는 피부에 탄력을 주는 치료 및 관리가 넓은 모공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이런 경우는 화학박피술, 레이저박피술(Er:YAG 레이저, 울트라펄스 CO₂레이저), 포토리쥬베네이션(브이빔, 엔라이트 그외 IPL), 미세박피술(다이아몬드 필링, 크리스탈필링), 고주파치료기, 메조롤러 등으로 치료한다.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에 따라 잘못된 화장품의 사용 즉, 유분이 많은 화장품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공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더운물 세안, 사우나를 너무 자주, 오래 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해져 탄력을 잃고, 모공도 넓어지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모공속의 노폐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모공이 넓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막기위해서는 적절한 세안과 정기적인 팩이 도움이 되며 미세박피술과 피부스케일링을 시행하기도 한다. 또한 아무 생각없이 피지를 무리하게 과도한 힘을 가해 자주 짜는 경우도 흉터와 함께 모공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의학적 피부관리

세제여드름(Acne Detergicans)

세제 여드름(Acne Detergicans)


세제 여드름(Acne detergicans)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Acne Detergicans Image
세제 여드름(Acne detergicans)


 일반적으로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세안과 청결은 여드름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강박적으로 비누 세안을 즐기는 사람에게서 오히려 여드름이 유발될 수 있어서, 이를 세제여드름(Acne detergicans)이라고 한다. 많은 세안제와 샴푸는 여드름 유발의 원인이 되는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정균작용을 하는 성분이나 식물성 성분들이 모낭을 자극할 수 있고 여드름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제여드름은 그리 많지 않지만, 하루에 4회 이상 세안하는 환자에게서 고려해 보아야 한다. 여드름 병변은 얼굴 어느 부위에나 생기며, 주로 폐쇄 면포를 가지고 있다. 치료는 저자극성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하는 횟수를 하루 두세 번으로 줄이는 데서 시작하며, 치료 방법은 일반 여드름과 동일하다.



의학적 피부관리

포마드 여드름(Pomade Acne)

포마드 여드름(Pomade Acne)


포마드 여드름(Pomade ac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Pomade Acne Image 
Pomade Acne Image 2
포마드여드름(Pomade acne)


 머리카락에 광택을 내기위해 바셀린이나 유동파라핀 또는 고형파라핀 등 광물유에 향료를 첨가한 정발유를 포마드(Pomade)라고 한다. 대부분의 포마드는 면포 유발성 화장품에 속하므로, 포마드여드름(Pomade acne)도 화장품 여드름의 일종이다. 사회문화적으로 포마드를 사용하는 유색인종(African American or African Caribbean descent)에게 흔히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포마드 사용이 급격히 줄어 환자를 발견하기 어렵다.

 주로 두피, 이마, 얼굴 측면에 발생하는데, 병변은 주로 단일한 형태의 폐쇄면포이고 경우에 따라 구진과 농포가 농반된다. 치료는 포마드를 쓰지 않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미 생긴 포마드 여드름은 보통여드름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의학적 피부관리

화장품 여드름(Acne Cosmetica)

화장품 여드름(Acne Cosmetica)


화장품 여드름(Acne cosmetica)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Acne Cosmetica Image
화장품 여드름(Acne cosmetica)


 화장품 여드름(Acne cosmetica)은 화장품을 사용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여성에게서 비교적 경미한 형태의 구진성 여드름으로 발생하는데, 발생 시기에 따라서는 일종의 성인여드름으로서 화장품이 주된 원인 물질로 간주되며 사용하는 화장품의 종류와 양이 많고 사용 기간이 길수록 빈도가 높다. 화장품은 수분 성분과 지방 성분들이 결합된 유화 상태에 있는데, 특히 지방 성분들 중에 각질형성세포들을 서로 달라붙게 함으로써 모공을 막아 여드름을 유발 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이 숨어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모공을 막을 수 있는 지성 성분들을 여드름 유발 성분(comedogenic ingredients)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여드름 유발 성분으로는 동물성 오일인 라놀린 오일, 밍크 오일, 향유고래 오일 및 우지, 식물성 오일인 코코넛 오일, 미네랄 오일인 유종 파라핀, 함성 오일로서 대표적인 유화제 성분인 isopropyl myristate 등이 있다.

 화장품 회사들은 여드름을 발생시키지 않는 성분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하고 있고, 실제로 많은 화장품들이 비면포성(non-comedogenic)또는 비여드름성(non-acnegenic)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고 있다. 대부분 이들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분량, 적은 양의 유분, 그리고 지질을 흡수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제품을 만들어도 민감한 사용자들에게는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가 특정 제품의 화장품을 바르면 언제나 여드름이 생긴다고 호소하면 그 제품의 성분을 검토하여, 환자에게 향후 피해야 할 성분이 이런 것이라고 알려주어야 한다. 더러는 제품 자체보다는 사용 방법, 즉 제품을 이용한 강력한 얼굴 마사지 등이 모피지선 단위를 약화시켜 여드름을 발생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화장품 여드름의 특징은 선행하는 미세면포 없이 화장품을 도포한 부위(주로 뺨과 구순 주위)에 밀집된 개방면포, 폐쇄면포와 구진, 농포로 나타나며, 화장품 사용을 중단하면 개선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러한 증상이 화장품에 의한 것임을 알지 못하여 오히려 이러한 문제성 피부 병변을 가리기 위해 면포 유발 경향이 높은 파우더류의 색소성 화장품을 상용하는 경향때문에 모공이 막혀 여드름이 더 악화되는 수가 종종 있다. 화장품 여드름은 생리 전 악화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심각한 수준의 여드름 병변으로 진행되지도 않는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안전성과 면포 유발 가능성에 대한 시험 방법이 개선되어 발생 빈도가 많이 낮아지고 있지만, 엄격한 안전 기준을 거쳐 생산된 화장품이 아니라면 한번쯤 의심해 보아야 한다. 화장품의 사용을 중단하면 병변이 호전되지만, 만약 호전의 속도가 너무 더디다면 저용량의 isotretinoin을 경구 투여해 보기도 한다.  

 

콜타르/피치 여드름(Coal Tar Acne/Pitch Acne)

콜타르/피치 여드름(Coal Tar Acne/Pitch Acne)


콜타르/피치 여드름(Coal tar acne/Pitch ac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Coal Tar Acne/Pitch Acne Image
 콜타르/피치 여드름(Coal tar acne/Pitch acne)


 콜타르는 석탄의 건유에 의하여 얻어지는 흑색의 점성액체로서 비중 1.1∼1.2 이며, 건유온도에 따라 고온타르(900∼1200℃), 중온타르(600∼900℃), 저온타르(450∼600℃)로 구분된다. 주성분으로는 벤졸계 탄화수소, 석탄산, 크레졸, 나프탈린, 안트라센, 유리탄소 등을 함유한다. 콜타르는 그대로 금속의 방식도료, 내산도료 등에 사용되며 또는 증류하여 경유, 中油(중유), 重油(중유), 안트라센유, 피치로 분리되며, 이중 피치는 방수, 지붕재료 등으로, 그외의 것은 의약품, 염료, 화약품의 원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coal tar & pitch를 사용하는 도로 포장공사, 지붕 방수공사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광범위하고 심한 면포성 여드름이 발생하는데, 특히 뺨과 같은 노출부에 호발하고 빛(자외선)에 의해 악화된다. 합병증으로는 유두종, 각화증, 극새포증이 발생할 수 있다. 콜타르는 이외에도 피부와 눈에 심한 광독성 반응을 일으키고 Coal tar melanosis를 유발할 수 있다. 현재는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건선, 비듬, 지루피부염, 염색후 가려움증 등의 두피 습진 질환과 이와 관련된 소양증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었던 콜타르 함유 피부외용제의 경우,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여러가지 피부의 문제와 함께 Coal tar acne를 유발 할 수 있다.  
 

유지여드름(기름여드름, Oil Acne)

유지여드름(기름여드름, Oil Acne)


유지여드름(기름여드름, Oil ac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Oil acne image
유지여드름(기름여드름, Oil acne)


 넓게 산재된 면포, 그리고 구진 및 농포가 여러 가지 다양한 오일에 노출된 근로자들에게서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유지여드름(Oil acne)이라고 한다. 특별히 기름과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되는 모낭염(Oil folliculitis)으로, 과거에는 기계를 다루는 근로자가 절삭유와 접촉할 기회가 많아 호발하였으나 산업보건위생이 향상됨으로써 최근에는 점차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유지여드름은 주로 기름에 절여진 옷과 밀착되는 가려진 부위인 팔과 대퇴부에 호발한다. 기름에 의한 모낭 폐쇄가 원인으로 추정되며, 심한 경우 절종(oil boils)과 같은 병변이 생기고 그러한 경우는 반흔을 남기며 치유된다. 기름에 절은 옷을 입고 근무하지 않도록 하며, 치료는 염증성 여드름 치료에 준한다.
 

2024년 3월 10일 일요일

염소여드름(Chloracne)

염소 여드름(Chloracne)


염소여드름(Chloracne)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Chloracne image
염소여드름(Chloracne)


 염소여드름은 1897년 Von Bettman이 독일 공장 노동자에게서 처음 발견하였으며, 당시 toxic chlorine에의 노출에 의한 피부 병변으로 믿어졌기때문에 'Chloracne(염소 여드름)'으로 불렸다. 그 후 1950년도 중반이 지나 이 질환이 halogenated 또는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s에 의해 발생하는 여드름양 발진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염소 여드름은 직업, 화학적 사고, 환경오염 등으로 피부 접촉, 흡입, 섭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 물질은 다이옥신과 PCB 등인데, 다이옥신은 dibenzo-dioxins계 화학 물질의 총칭으로 이것들 가운데 특히 유독한 2,3,7,8 -tetrachlorodibenzo-p-dioxin(TCDD)가 생물 체내에 농축되어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이 물질은 제초제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기도 하며 쓰레기 소각 과정에서 생기기기도 한다. 또한 월남전 고엽제 사건과 1976년 이탈리아 세베소 사건에서도 문제가 된 물질이다. 또한 1968년 일본 가네미 지방에서 일어났던 식용유 속에 함유된 PCB(Polychlorinated biphenyl)에 의한 환경오염 사건에서도 애초에 여드름 형태의 피부병 환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지역 보건소에서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얼마 전에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당선된 유슈첸코는 좋은 피부를가진 중년의 미남이었다. 그런데 선거유세가 한창이던 어느날, 뉴스에 나타난 그의 얼굴은 귤껍질처럼 얽고 낭종으로 뒤덮인, 푸르죽죽한 피부로 변해 있었다. 유슈첸코의 혈액 샘플을 분석한 암스테르담대학 환경독성물질학과의 브루어 교수는 “다이옥신가운데서 독성이 제일 강한 ‘사염화디벤조p다이옥신(TCDD)’에 중독됐다”고 발표했다. 다이옥신은 인류가 개발한 화학물질 중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인간이 사용하기 위해 일부러 생산하는 게 아니라 농약·살균제·펄프 등을 제조할 때 고열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다. 근래에는 염소를 많이 함유한 비닐·플라스틱 등의 합성물질들을 (고열)소각할 때 유독한 다이옥신이 발생하면서 환경 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벤젠핵 두 개를 산소가 연결하고 염소가 여러 개 결합된 화학 구조로서, 210여종의 동족체 가운데 17개만이 독성을 가지며 4개의 염소를 결합한 TCDD(2,3,7,8-tetrachlorodibenzo-p-dioxin)가 가장 독성이 크다.
 월남전에서는 전투에 방해가 되는 밀림을 없애기 위해 고엽제를 다량 살포했다. 고엽제란 엽록소를 고사시킨다는 뜻으로 나뭇잎을 순식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하는 약제로 일명 'Agent Orange'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품을 담은 용기나 드럼통에 황색 줄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고엽제에는 강한 독극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중 Dioxin 은 직접 노출 또는 호흡기를 통해 그리고 식수, 계곡물, 강물, 빗물 등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었다. 월남전에서는 1961년 ~ 1971년까지 7,000,000리터의 고엽제가 공중 및 지상살포되었는데, 현재 월남에서는 300만명의 환자 중 200만명이 죽었거나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 만약 그 당시 고엽제를 밀림에 뿌리기 전에 엄밀한 조사와 부작용을 조금만 고려했더라도 전쟁이 유발한 이토록 거대한 환경 피해 사건은 없었을 것이다. 이 순간에도 월남전에 참가했던 각국의 많은 참전용사들이 다이옥신의 독성으로 고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들도 선천성 기형, 피부병들을 대물림받아 고통을 겪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67년 10월 9일부터 1970년 7월 31일 사이에 당시 남방한계선 부근에서는 나뭇잎 제거 등을 목적으로 고엽제를 살포한 바있어, 정부는 월남전 참전 용사들외에도 당시 남방 한계선 인접 지역에서 병역법, 군인사법, 또는 군무원 인사법에 의한 군인이나 군무원으로서 복무 하거나 고엽제 살포 업무에 참가하고 전역 퇴직한 사람들에게 고엽제 후유의증 지원 등에 관한법률 규정에 의거 모든 보상 및 예우를 월남 참전자와 동등하게 적용하고 있다.
 염소여드름은 다양한 크기의 폐쇄면포와 낭종이 얼굴에, 특히 협부와 후이개부에 호발하며 비부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진단적 가치를 가진다. 주로 면포성이며 염증반응은 경미하나 낭포가 커지면서 이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독성이 심한 경우 안면 외에 경부, 체간, 둔부, 음낭과 성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같은 염소 여드름은 다양한 화학물질에 의해 야기되며, 여드름과 함께 색소 침착, 다모, 두꺼비 피부증(phrynoderma), 홍반, 결막염, 수장족저 다한증 등이 나타나며 전신적인 증상으로 간기능 장애, 중성지방의 증가, 간성 포피린증, 기관지염, 신경계 증상 그리고 장기간의 노출 후 다양한 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염소여드름의 발생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TCDD 등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주어 이로인해 모피지 단위의 상피세포에도 변화를 일으켜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원인 물질과의 접촉이 증명되고 임상 소견이 합당하며 다른 여드름양 발진이 배제될 때 비로소 염소여드름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노인성 면포, Favre-Racouchot 증후군 등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또한 고엽제에 노출된 경우 오랜 시간이 흐르고 발생될 수 있는 후유증 중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고엽제후유증환자등의 결정기준)에 해당하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1)비호지킨임파선암, (2)연조직육종암, (3)염소성여드름, (4)말초신경병, (5)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 (6)호지킨병, (7)폐암, (8)후두암, (9)기관암, (10)다발성골수종, (11)전립선암, (12)버거병, (13)당뇨병(다만, 선천성 당뇨병을 제외한다), (14)만성림프성 백혈병. 

성인 여드름(Adult Acne), 기계적 여드름(Acne Mechanica), 열대성 여드름(Acne Tropicalis), 독물성 여드름(Acne Venenata)

성인 여드름(Adult Acne), 기계적 여드름(Acne Mechanica), 열대성 여드름(Acne Tropicalis), 독물성 여드름(Acne Venenata)


성인 여드름(Adult acne), 기계적 여드름(Acne mechanica), 열대성 여드름(Acne tropicalis), 독물성 여드름(Acne venenata)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Chloracne image
염소여드름 (Chloracne)

성인 여드름(Adult acne) 

 1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던 여드름은 차츰 감소하여 남성의 경우 대부분 20~25세 사이에 소실되는데, 여성은 성인이 되어서도 여드름을 경험하게 되어 40세까지, 경우에 따라 40세 이상에서도 여드름이 발생하며 이를 성인여드름(Adult acne, Postadolescent acne)이라고 한다. 25세~34세 성인의 8%, 35세~44세 성인의 3%에서 성인여드름이 발생하며, 최근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여성에게서 성인여드름 발생이 늘어나는 이유는 명확치 않지만 직장에 근무하는 여성이 늘어남으로써 오는 스트레스의 증가, 높아지는 출산 연령, 경구 피임약의 사용, 식품 첨가제의 급증과 호르몬 및 항생제 남용 등이 연관되어 있으리라 추측된다.
 성인여드름(Postadolescent acne)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Female adult-onset acne, (2) Female adult-onset acne concurrent with adolescent acne that has persisted into adulthood, (3) Postmenopausal acne, (4) Endocrinopathic acne, (5) Male adult-onset acne(rare). 이러한 성인여드름은 임상적으로 사춘기 여드름과 달라서 면포는 적고 염증성 병변이 보다 많은데, 여성의 경우 얼굴 특히 입 주위와 턱선을 따라 하악에 호발하며(남자는 체간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임), 전체적으로 사춘기여드름보다 병변의 수가 적고 주로 염증성 구진 및 농포의 형태로 존재한다. 병변의 양상은 구주위염이나 주사와 유사하며, 일정한 부위에 밀집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즉, 사춘기여드름은 이마와 같은 T-zone 부위에 많이 생기는 반면, 성인여드름은 피지선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U-zone 을 중심으로 잘 생긴다.
 성인 여성과는 달리 성인 남성에서 발병하는 여드름은 보통 흔하지 않은데, 운동선수나 보디빌딩을 하는 사람들 중 동화성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경우 안면, 두피, 앞가슴, 등, 상완 등의 피지 분비를 증가시켜서 여드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Bodybuilding acne), 과다 투여 시에는 수 주 내에 응괴성 여드름 및 전격성 여드름과 같은 심각한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유병율이 보고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성인 여성의 1/3에서 지속적으로 경증의 여드름이 동반된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여드름 병변이 심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호전을 보여 실제 사회생활에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므로 대부분의 여성들은 여드름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여성의 성인여드름(Female adult-onset acne)은 혈중 호르몬 레벨의 변동에 따라 재발되거나 소실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일부 여성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배란 중이거나 생리 전에 재발하며, 병변은 수 일 동안 지속되는데, 경우에 따라 한 달이상 나타나기도 한다. 월경 전 여드름의 악화는 실제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Premenstrual acne)은 생리 약 1주일전에 구진과 농포들이 증가하는 양상이 특징적인 소견이다. 이는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피지분비가 증가하고, 동시에 이 시기에 모피지선의 개구부 크기가 생리 15~20일 사이에 가장 좁아지게 되어 여드름이 악화되는 걸로 추정되고 있다.
 월경전여드름의 병변은 빠르게 발생하며 비염증성 병변인 미세면포(microcomedones)에서 진행되고, 월경전여드름의 악화는 보통 심하지 않은 구진농포성 여드름에서 시작되며 심재성 결절이나 낭종 등이 있는 심한 여드름에서는 뚜렷하지 않다. 매달 주기적으로 농포가 5~10개 정도씩 나타난다면 월경전여드름을 의심할 수 있다.
 폐경후여드름(Postmenopausal acne)은 폐경 2년 이내에 주로 발생하는데,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난소가 더이상 충분한 에스트로겐을 만들지 못하고 부신에서 지속적으로 안드로겐만을 생산하게 됨으로써 야기되는 호르몬의 불균형과 연관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폐경후여드름은 산재된 폐쇄성 미세면포가 동반된 심하지 않은 병변으로 느슨한 피부를 스트레칭시킴으로써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개방면포는 드물며 소수의 미세한 구진농포성 병변들이 관찰된다. 대부분의 경우 여러 해 지속되다 결국은 사라진다.

기계적 여드름(Acne mechanica)

 피부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 반복되는 마찰 그리고 열, 피부의 밀폐와 같은 물리적 인자에 의해 여드름이 유발되거나 악화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기계적 여드름(Acne mechanica)이라고 부른다. 예컨대, 미식축구선수에서 헬멧의 턱보호대 하방 부위,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 부위, 목발을 사용하는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 전투 배낭을 짊어진 군인들의 어깨 등에서 발견될 수 있다.
 기계적 여드름의 발생기전은 불명확하지만 모피지의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국소적 외상이나 밀폐, 수화에 의한 과각화 반응에 의한다는 가설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적 여드름에 있어서 새로운 병변의 발생은 기존 여드름의 심한 정도와 비례한다. 즉 경미한 여드름의 경우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고도의 염증성 병변은 중증의 외상에 의하여 구진, 농포 및 결절을 유발한다. 하지만 단순히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면포가 유발되지는 않는다.
 손으로 턱을 괴는 습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손으로 얼굴을 문지르는 습관등에 의해 안면부에 기계적 여드름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바이올린이나 비올라 연주자의 Fiddler's neck 도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늘 악기를 왼쪽 턱 밑에 끼고 살다 보니 악기가 닿는 목 부분의 피부가 압박과 마찰 때문에 검게 변하고 오돌토돌해지는데 잘 없어지지 않는다. 즉, 경부 하악 바로 아래부분에 국소적으로 태선화된 병변이 존재하며, 병변내에는 구진 혹은 농포들이 흔하게 존재한다. 또한 정형외과적 캐스트를 하거나, 목발을 하는 경우(겨드랑이), 반창고 등에 의해서도 기계적 여드름이 생길 수 있는데 기계적 여드름은 기존에 존재하는 여드름이 외상에 의해 악화되는, 일종의 여드름의 합병증으로 간주되고 있다.
 기계적 여드름의 치료는 당연히 원인이 되는 기계적인 외상을 피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반드시 가능한 일은 아니다. 예컨대 professional violinist 나 군인의 경우 악기나 장비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효과적인 여드름 치료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열대성 여드름(Acne tropicalis)

 열대성 여드름(Acne tropicalis)은 덥고 습기가 많은 계절에 열대지방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심한 여드름이다. 결절, 낭종 그리고 농포성 병변이 주로 등, 둔부, 허벅지에 발생한다. 하지만 얼굴에는 발생되지 않는 점이 특징적이며, 종종 응괴성의 여드름이 특별히 등 부위에 발생한다. 열대성 여드름은 이전에 사춘기 여드름을 앓았던 젊은 청년에게 잘 생기는데, 특히 열대지방에 주둔하는 군인들에게서 발병한다. 각질형성세포의 수화에 의한 모피지관의 폐쇄와 피지 분비 장애가 이 질환을 촉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낭과 젖은 옷에 의한 압박과 물리적 마찰에 의해 둔부와 등에 병변이 발생된 후 상지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 Acne generalisata 로도 불린다.

 열대성 여드름과 유사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하계여드름(Acne aestivalis)은 Mallorca 섬의 뜨거운 태양 아래서 살을 태워 귀국한 스칸디나비아 사람에게 발병한 보고가 최초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해서 Mallorca acne라고도 부른다. 봄에 나기 시작해서 여름에 아주 심해지고 가을에 저절로 깨끗해 지는 이 여드름은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25~40대까지의 여성에게 주로 발병하며 붉은반구형의 단단하고 작은 구진(3~4mm 이하)이 뺨에 생긴 후 목의 옆부분, 가슴, 어깨 그리고 특징적으로 상박부로 퍼져나간다. 면포와 농포는 없거나 소수만이 존재하고, 항생제에 대한 반응은 없으며 국소 레티노이드의 사용이 도움을 준다.


독물성 여드름(Acne venenata)

 특정한 화학물질(Chloracne, Oil acne, Coal tar acne, Pitch acne)이 직업적으로(Occupational acne) 또는 화학적 사고나 환경오염에 의해 피부에 접촉되거나(Contact acne) 흡입 또는 섭취되면서 발생하거나, 화장품(Acne cosmetica)이나 포마드(Pomade acne) 등을 바른 후 발생하는 여드름을 독물성 여드름(Acne venenata)이라 한다. 독물성 여드름을 일컫는 Acne venenata의 venenum은 라틴어로 poison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화학물질에 의해 모피지선에 유해한 반응이 유도되어 발생하는 여드름으로 다양한 원인 물질에 의해 다양한 임상 양상을 표출한다.


의학적 피부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