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3일 화요일

미백 물질 - 콩추출물(Whitening substance - Soybean extracts)

미백 물질 - 콩추출물(Whitening substance - Soybean extracts)

콩추출물(Soybean extracts)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서리태 콩 이미지
 콩 

 값싸고 안전하며 효과적이고 덜 자극적인 천연의 미백 물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기능성 화장품에 흔히 콩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다(Christine P 등, 2001/ Zoe DD, 2007). 이미 1940년대 콩에서 Kunitz-type trypsin inhibitors(soybean trypsin inhibitor, STI)와 Bowman-Birk protease inhibitor(BBI)와 같은 미백 물질이 분리된 바있다(Birk Y, 1985). 두유 및 두유에서 추출한 STI와 BBI는 PAR-2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색소의 탈색을 가져오며, 이러한 물질들은 과색소침착에 대한 천연의 미백치료제로 작용한다(Christine P 등, 2001).
 표피멜라닌단위는 피부 색소 조절에 대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멜라닌세포에서 만들어진 멜라닌소체들은 가지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주변의 각질형성세포로 운반되며(Ortonne JP, 1995), 이 과정에 있어서 PAR-2(protease-activated receptor-2)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알려진다(Seiberg M, 2000). PAR-2는 G 단백질결합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로 serine protease cleavage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PAR-2의 할성화를 방해하는 serine protease inhibitor는 멜라닌소체의 이동과 분배과정에 관여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져있다(Seiberg M, 2001).
 콩에서 분리된 serine protease inhibitor인 STI와 BBI는 PAR-2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소체의 이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두유 및 serine protease inhibitors는 또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색소침착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Paine C 등, 2001). 하지만 가열하거나 저온 살균된 두유는 효과가 없고 신선한 두유에서만 효과가 나타나므로 열에 비교적 안정적인 BBI보다는 열에 불안정한 STI가 주 미백 물질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Christine P 등, 2001), 온전한 STI를 함유한 콩 추출물로 3주 치료 후 사람 피부에서 의의있는 미백 효과가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임상 보고가 있다(Hermanns JF 등, 2000).
 또한 두유에는 STI와 BBI 외에도, 트립신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Liu KS 등, 1990), PAR-2 경로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는 자유지방산과 그 acyl CoA esters도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 알려진 이소플라본(isoflavones)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해 멜라닌 생성 작용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ewelek J 등, 1998) 그 외에도, 콩은 'soy lecithins'으로 알려진 인지질(phospholipids)을 함유하고 있어서 유화제로 사용되며, 이러한 콩의 인지질은 두유를 국소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리포솜의 도움없이 피부 내로 STI와 BBI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Christine P 등, 20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