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3일 화요일

미백 물질 - 아젤라인산 (Whitening substance - Azelaic acid)

미백 물질 - 아젤라인산 (Whitening substance - Azelaic acid)

아젤라인산 (Whitening substance - Azelaic acid)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아젤라인산 화학구조식 이미지
아젤라인산 화학구조식

 아젤라인산은 탄소원자 9의 포화된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으로서, 질산에 의한 올레산(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얻어지거나 Brettanomyces petrophilum같은 미생물의 발효에 의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에 의해서도 형성된다(Nazzaro-Porro M, 1987). 어루러기를 일으키는 Pityrosporum ovale의 배양에서 올레산의 산화로 아젤라인산이 생성되고, 아젤라인산이 멜라닌 생성 과정에 티로시나제의 경쟁적 억제 인자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어루러기의 탈색소 병변도 아젤라인산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피부 표면의 불포화지방에 대한 피티로스포룸균의 지질 과산화에 의해 형성된 독성의 지질과산화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무형 등, 1991).

 아젤라인산은 여드름 국소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아젤라인산이 티로시나제의 경쟁적 억제자로서 알려지고 멜라닌세포에 대한 작용이 티로시나제 억제 작용일 것으로 생각해 왔으므로 기미와 PIH 치료에도 사용되어 왔다(Schallreuter KU 등, 1990). 하지만 아젤라인산은 광선각화증과 여드름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항바이러스 효과와 항생제로서의 효과도 나타내며, 멜라닌세포 외에 각질형성세포, lymphoma-derived cell line, leukemia-derived cell line에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므로 멜라닌세포에 대한 작용이 티로시나제에 기본적으로 작용한다는 데 의문이 제기되었다(이무형 등, 1991).

 보고에 의하면 아젤라인산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멜라닌세포를 보이는 기미와 악성흑자, 흑생종의 치료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이무형 등, 1991), 사람이나 동물의 흑색종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 시 멜라닌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만(Pehamberger H 등, 1984), 정상 피부나 주근깨, 일광흑자, 색소모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Breathnach AS 등, 1984), 사람의 정상 멜라닌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멜라닌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나(Hu F 등, 1986), 또 다른 실험들에서는 흑색종 세포뿐만이 아니라 사람의 정상 멜라닌세포에도 증식 억제 및 DNA합성을 억제한다는 보고들이 있다(Robins EJ 등, 1985/ 이무형 등, 1991).

 아젤라인산을 국소 도포하는 경우 안정성이 높아서 부작용은 가벼운 자극 반응 정도로만 국한되었으며, 얼굴 과색소침착의 치료에 있어서 24주간 20% 아젤라인산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주관적일 뿐만아니라 비색계 분석에서도 색소의 강도가 휠씬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Lowe NJ 등, 1998).

 또한 20% 아젤라인산 크림을 15% 또는 20% 글리콜산 로션과 병행하여 피부색이 검은 환자의 색소침착을 치료하는 경우 4% 하이드로퀴논만큼의 효과가 있었으며, 부분적으로 국한된 자극 반응만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Kakita LS 등, 1998).

 우드등으로만 관찰되는 잠재성 색소침착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젤라인산을 3주 이상 사용하는 경우 임상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색소침착을 흐리게 하는 데 글리콜산보다 우수하다고 하였다(Hermanns JF 등, 2000). 그러므로 아젤라인산은 하이드로퀴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써볼 수 있는 우수한 선택 약제이다(Baumann L, 200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