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4일 일요일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원인 물질 (Causative Agents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원인 물질 (Causative Agents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원인 물질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DPCP 도포 1주일 후 감작이 이루어진 모습
난치성 사마귀 치료를 위한 DPCP 면역요법 시, 0.1% DPCP 도포 1주일 후 감작이 이루어진 모습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원인물질이 무엇인가 밝혀내기 위해서는 환자들이 생활 환경에서 어떠한 물질과 접촉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원인물질은 사마귀나 원형탈모증의 면역치료제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DNCB(dinitrochlorbenzene) 나 DPCP(diphenylcyclopropenone) 처럼 1회 접촉으로도 감작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항원에 감작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반복접촉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알레르기접촉피부염과 관련된 임상 보고는 미미하기 짝이 없다. 하지만 임상 증례 보고는 비록 소수의 증례라도 동 시대의 잠재적인 많은 증례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역학과 임상은 떼어놓을 수 없는 불가분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원인물질은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알려진 빈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으며, 새로운 원인 물질이 출현할 수도 있으므로 감작항원을 찾기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종영 저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