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30일 화요일

B.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 (Urticaria due to aspirin intolerance)

B.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 (Urticaria due to aspirin intolerance)

B.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 이미지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

 아스피린 불내성은 2005년 영국 NICE(The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의 지침에 의하면 아스피린 과민반응이 입증됐거나, 저용량에서도 심각한 소화기 이상반응의 병력이 있는 경우로 정의되고 있다. 1902년 Hirschberg가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발생한 급성 혈관부종을 최초로 보고한 이후 현재까지 아스피린 불내성의 유병률은 6~20% 정도라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과민반응이 발생하는 경우는 0.6~2.4%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피린 불내성에 의한 두드러기는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나서 정상인이나 알레르기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비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두드러기나 혈관부종이 발생되는 것을 말하며. 가성알레르기(pseudoallergy)라고도 불린다. 또한 아스피린은 그 자체가 두드러기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성 두드러기를 지속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 만성특발성두드러기 환자의 20~50%에서 아스피린 불내성이 발견된다고 알려진다. 발생기전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작용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메페남산, 페닐부타존, 벤조산나트륨, 타르트라진 등과 빈번하게 교차반응을 보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피부단자검사나 특이항체는 진단적인 가치가 없으며, 아스피린에 대한 경구유발검사가 진단에 유용하다.

참고문헌

​1. 김정은, 이진우, 성준모, 김주희, 최길순, 예영민, 남동호, 박해심. 아스피린 과민성 두드러기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천식 및 알레르기 2010; 30 (2): 93-9.
2. 김종민, 이유신. 아스피린이 유발원인으로 사료되는 담마진 1예. 대한피부과학회 초록집 1978; 30 (1): 32.
​3. 예영민, 김정은, 남대익, 김승현, 서창희, 남동호, 박해심. 만성 두드러기 환자들의 아스피린 과민증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 및 예후 비교. 천식 및 알레르기 2005; 25 (3): 194-9.
4. 오민수, 성길명, 이혜숙, 임길채, 이재천. 아스피린 탈감작으로 호전된 아스피린 과민증을 동반한 난치성 만성 두드러기 2예. 천식 및 두드러기 2012; 32 (1): 51-5.
5. 이애영, 황규왕, 김계정. 약물발진, 홍반 및 두드러기. In: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6판. 도서출판 대한의학 2014: 289-97.
6. 한희진, 전진곤, 박천욱, 이철헌, 안혜경. 만성 두드러기 환자에서 발생한 아스피린 불내성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3; 41 (8): 1099-101.

*1. Agúndez JA, Martínez C, Pérez-Sala D, Carballo M, Torres MJ, García-Martín E. Pharmacogenomics in aspirin intolerance. Curr Drug Metab 2009; 10 (9): 998-1008.
​*2. Grattan CE. Aspirin sensitivity and urticaria. Clin Exp Dermatol 2003; 28 (2): 123-7.
*3. Hirschberg VGS. Mitteilung über einen Fall von Nebenwirkungen des Aspirin. Dtsch Med Wochenschr1902; 28: 416.
*4. Jenneck C, Juergens U, Buecheler M, Novak N.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of aspirin intolerance.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07; 99 (1): 13-21.
*5. Klimek L, Pfaar O. Aspirin intolerance: does desensitization alter the course of the disease?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9; 29 (4): 669-75.
*6. Lambrakis P, Rushworth GF, Adamson J, Leslie SJ. Aspirin hypersensitivity and desensitization protocols: implications for cardiac patients. Ther Adv Drug Saf 2011; 2 (6): 263–70.
*Pfaar O, Klimek L. Aspirin desensitization in aspirin intolerance: update on current standards and recent improvement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6; 6: 161–6.
*7. Samter M, Beers RF Jr. Concerning the nature of intolerance to aspirin. J Allergy 1967; 40 (5): 281-93.
*8. Settipane GA, Chafee FH, Klein DE. Aspirin intolerance. II. A prospective study in an atopic and normal popul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974; 53 (4): 200-4.

정종영의 도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