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31일 일요일

옻 피부염의 발생과정

옻 피부염의 발생과정

옻 피부염의 발생과정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옻 피부염 이미지
옻 피부염


 우루시올이 화학적으로는 인간에게 위험하지는 않지만, 피부 세포와 결합하는 경우, T-cell 매개 면역반응(type IV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을 일으켜, 발적, 부종, 구진, 수포등의 allergic eczematous contact dermatitis를 유발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는 피부 위에 맑은 액체로 가득 찬, 직경 1~2mm의 작은 수포들이 생길 수도 있는데 이들 수포나 삼출성 물집 안의 액체에는 우루시올이 없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옻 발진을 옮기지는 않는다. 따라서 피부에서 우루시올만 완전히 씻겨 나갔다면 발진 부위가 전염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정종영 저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