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4일 목요일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정의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정의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정의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파스에 의한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이미지
파스에 의한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접촉피부염(Contact dermatitis)은 외부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습진성피부염(eczematous dermatitis)을 말하며, 보통 알레르기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과 자극접촉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정 농도 이상의 자극을 주면 누구에게나 발생되는 자극접촉피부염과는 달리,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알레르겐 또는 항원으로 불리우는 원인물질에 접촉이 되더라도 정상인에게는 발생하지 않고 특별히 알레르겐에 감작되어 있는(sensitized) 사람에게만 습진성피부염을 일으키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접촉피부염은 대부분 홍반, 구진, 수포 등 일반적인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습진 이외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여 태선화병변, 다형홍반, 자반, 구진결절, 육아종, 농포, 박탈피부염, 피부경화증, 백색피부증(leukoderma), 연조직염 모양의 dermal contact hypersensitivity 등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원인물질이 광선과 함께 있어야만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서 자극물질이 광선과 함께 자극피부염을 유발할 경우를 광독성피부염(phototoxic dermatitis)이라 하며, 항원이 광선과 함께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유발할 경우를 광알레르기접촉피부염(photoallergic contact dermatitis)이라 한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지연형 과민반응(제4형)에 의해 병변이 발현되므로 특정 물질과 접촉되면 접촉 부위에 즉시 두드러기가 생기는ㅡ비면역학적 기전 또는 즉시형 과민반응(제1형)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ㅡ접촉두드러기(Contact urticaria)와도 구별되어야 한다.  


의학적 피부관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