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젯

2024년 4월 30일 화요일

C. 일광두드러기(Solar Urticaria)

C. 일광두드러기(Solar Urticaria)

C. 일광두드러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일광두드러기 이미지
일광두드러기

 일광두드러기는 물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두드러기의 하나로 태양 광선에 노출된 부위에 피부 부종이나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드문 광과민피부질환이다. 1904년 Merklen이 처음으로 기술하였으며 1923년 Duke가 'Solar urticaria'로 명명하였다. 발병 연령은 주로 10세~50세의 청장년층으로, 증상이 지속되기도 하고 점차 호전되기도 한다. 일광 두드러기의 남녀별 발생 빈도는 거의 비슷하거나 여성에서 더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족력이나 유전적 요인은 없으며 두드러기 환자의 0.4%, 광과민 피부질환의 2.3%~17.8%가 일광두드러기 환자이다.

​일광 두드러기의 발병 기전은 빛 에너지의 흡수로 피부나 혈액 내의 전구 물질로부터 광알레르기 항원이 생성되고, 이에 대한 제1형 과민반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광두드러기의 작용파장은 290~800nm로 광범위하지만 주로 가시광선과 UVA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여러 광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작용 파장은 광항원의 특성, 특히 분자량과 관련이 있으며 작용 파장 이외에도 일광두드러기를 억제하는 억제 파장과 악화시키는 강화 파장이 존재한다. 과거에는 일광두드러기를 작용 파장과 혈청수동전달검사 및 역수동전달검사에 의해 6가지 형으로 나누었으나, 최근에는 25~45kDa의 특이적 알레르기항원에 의한 IgE 매개성 즉시형과민반응(제1형)과 25~1,000kDa의 비특이적 알레르기항원에 의한 IgE 매개성 즉시형과민반응(제2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태양 광선에 노출된 부위에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부종이나 두드러기가 수 초 내지 수 분 내에 나타났다가 수 시간 내에 정상으로 돌아가며, 다시 그 부위가 태양 광선에 노출되더라도 12~24 시간 내에는 새로운 증상이 생기지 않는다. 늘 일광에 노출되는 부위인 얼굴이나 손등은 몸통, 팔, 다리보다 증상이 약하며 평소 태양광선에 노출이 적은 부위의 경우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전신적으로 과도하게 일광에 노출되면 드물지만 쇼크 증상이 생길 수도 있다. 그 밖에 특정 부위에만 발생하는 고정형 일광두드러기와 일광 노출 수 시간 후에 나타나는 지연발병 일광두드러기도 보고된 바 있다.  

참고문헌

1. 강형근, 전현진, 방형돈, 김광호, 김광중. 일광 두드러기 1 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1; 39 (10): 1178-80.
2. 강훈, 조상현, 김의한, 강훈. 소아에서 발생한 일광 두드러기 1례. 천식 및 알레르기 1999; 19 (3): 509-13.
3. 류지훈, 박혜상, 홍석진, 손숙자. 일광 두드러기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2; 40 (11): 1431-3.
4. 박경찬, 윤재일, 김원석, 이유신. 제 IV형 일광담마진 (日光蕁麻疹)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4; 22 (3): 350-4.
5. 박노재, 이원우, 김덕하. 일광 담마진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90; 28 (3): 341-4.
6. 박진우, 이정훈, 박영립, 황규왕. 일광 두드러기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0; 38 (11): 1552-4.  
7. 우승만, 윤재일. 한국인에서 일광 두드러기의 임상적 분석. 대한피부과학회지 2006; 44 (11): 1304-8.
8. 최용범, 김상태. 광의학. In: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6판. 도서출판 대한의학 2014: 169-70.
9. 이재준, 황선욱, 김영표. 일광담마진 (日光蕁麻疹)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5; 23 (1): 63-7.
​10. 임철완, 김영표. 일광(日光) 담마진(蕁麻疹) 1증례(症例). 대한피부과학회 초록집 1977; 29 (1): 14-5.
11. 정재윤, 서대헌. 가시광선과 자외선 A, 자외선 B에 모두 반응을 보인 일광 두드러기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7; 45 (11): 1210-2.
12. 조광열, 윤재일, 이유신. 광선 치료를 시행한 일광 담마진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7; 25 (3): 379-82.
13. 조광열, 윤재일, 이유신. 제 III 형 일광담마진 2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5; 23 (3): 361-4.
14. 최지호. 일광 두드러기.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005; 3 (2): 33-5.
15. 황경희, 강진수, 고창기, 조정구. 일광담마진의 1 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1; 19 (3): 371-6.  

​*1. Botto NC, Warshaw EM. Solar urticaria. J Am Acad Dermatol 2008; 59: 909–20.
*2. Duke WW. Urticaria caused by light. JAMA 1923; 80:1835–8.
*3. Goetze S, Elsner P. Solar urticaria. J Dtsch Dermatol Ges 2015; 13 (12): 1250-3.
*4. Horio T, Minami K. Solar urticaria: photoallergen in a patient´s serum. Arch Dermatol 1977; 113: 157–60.
*5. Leenutaphong V, Hölzle E, Plewig G. Pathomechanisms and classification of solar urticaria: a new concept. J Am Acad Dermatol 1989; 21: 237–40.
*6. Merklen P. Urticaria. In: Besnier E, Brocq L, Jacquet L, eds. La Pratique Dermatologique: Trait de Dermatologie Appliquée. Paris: Masson et Cie 1904: 728–71.
*7. Pérez-Ferriols A, Barnadas M, Gardeazábal J, de Argila D, Carrascosa JM, Aguilera P, Giménez-Arnau A, Rodríguez-Granados T, de Gálvez MV, Aguilera J. Solar urticaria: Epidemiology and clinical phenotypes in a Spanish series of 224 patients. Actas Dermosifiliogr 2017; 108 (2): 132-9.
*8. Reinauer S, Leenutaphong V, Hölzle E. Fixed solar urticaria.  J Am Acad Dermatol 1993; 29: 161–5.

정종영의 도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