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젯

2024년 4월 29일 월요일

(6)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6)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6) 콜린성 두드러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콜린성 두드러기 이미지
콜린성 두드러기

 콜린성두드러기는 물리적 두드러기의 한 유형으로서 뜨거운 목욕, 매운 음식 섭취, 과도한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심부 체온이 1℃ 정도 상승하는 경우 발생한다. 전체 두드러기의 5~7%를 차지하며, 전형적으로 10~20대에 처음 증상이 시작되고 남성에서 더 호발한다. 발생 기전으로 콜린성두드러기 환자에서 아세틸콜린의 과다 생성이 보고되었으나 경구용 항콜린제에 효과가 없으며 H1 항히스타민에 잘 반응하는 이유로 히스타민의 관련성도 제시되었다. 환자의 혈청을 원숭이에게 주입시 증상이 발현되는 것으로 보아 혈청 인자의 가능성도 보고되었다.
 1~2mm의 아주 작은 팽진이 많이 나타나고 그 주위에 1~2cm의 홍반발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몸통에 많이 나타나고 얼굴과 손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팽진은 30~60분 후에 소실되지만, 경우에 따라 개개의 병변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때로는 병변이 융합되거나 혈관부종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가렵다기보다는 피부가 따갑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전신적으로는 발한, 복통, 현기증, 두통, 오심 및 구토 등이 동반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콜린성두드러기가 한랭두드러기, 특발성 전신성 무한증, 운동유발성 천식과 동반된 예에 대한 보고가 있다. 땀이 나게 운동을 시키거나 43℃ 정도의 뜨거운 물에 20~30분 목욕을 시키면 전형적인 콜린성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다. 예후는 비교적 좋지만 환자의 31%에서 10년 이상 유지되며, 평균 유병기간은 7.5년(3년~16년)으로 알려진다.

참고문헌

1. 김태윤. 두드러기의 발생기전.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003; 2 (3): 6-10.
2. 방찬일, 강민지, 양보희, 변지원, 송희진, 신정현, 최광성. 특발성 전신성 무한증이 동반된 콜린성 두드러기. 대한피부과학회 프로그램북 2011; 63 (1): 176.
3. 박해심, 홍천수, 김유리, 오승헌. 콜린성 두드러기를 동반한 운동 유발성 천식 1례. 천식 및 알레르기 1987; 7 (1): 77-82.
4. 양진석, 박현정, 변대규. 한랭 두드러기와 콜린성 두드러기가 동반된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3; 41 (1): 123-6.
5. 윤태영, 김성무, 유숙희, 김미경. 운동유발성 천식을 동반한 콜린성 두드러기 1예. 천식 및 알레르기 2011; 31 (2): 153-6.
6. 이애영, 황규왕, 김계정. 약물발진, 홍반 및 두드러기. In: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6판. 도서출판 대한의학 2014: 293.
7. 장호선. 물리 두드러기.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004; 2 (3): 27-30.

*Bito T, Sawada Y, Tokura Y.  Pathogenesis of cholinergic urticaria in relation to sweating. Allergol Int 2012; 61 (4): 539-44.
*Commens CA, Greaves MW. Tests to establish the diagnosis in cholinergic urticaria. Br J Dermatol 1978; 98: 47–51.
*Fukunaga A, Washio K, Hatakeyama M, Oda Y, Ogura K, Horikawa T, Nishigori C. Cholinergic urticaria: epidemiology, physiopathology, new categorization, and management. Clin Auton Res 2018; 28 (1): 103-13.
*Hirschmann JV, Lawlor F, English JS, Louback JB, Winkelmann RK, Greaves MW. Cholinergic urticaria.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Arch Dermatol 1987; 123: 462–7.
*Moore-Robinson M, Warin RP. Some clinical aspects of cholinergic urticaria. Br J Dermatol 1968; 80: 794–9.
*Nakamizo S, Egawa G, Miyachi Y, Kabashima K. Cholinergic urticaria: pathogenesis-based categorization and its treatment option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12; 26 (1): 114-6.
*Sibbald RG. Physical urticaria. Dermatol Clin 1985; 3: 57–69.
*Kaplan AP, Gray L, Shaff RE, Horakova Z, Beaven MA. In vivo studies of mediator release in cold urticaria and cholinergic urticaria. J Allergy Clin Immunol 1975; 55: 394–402.
*Tokura Y. New Etiology of Cholinergic Urticaria. Curr Probl Dermatol 2016; 51: 94-100.

정종영의 도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