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젯

2024년 4월 29일 월요일

(4) 피부묘기증성 두드러기 (Dermatographic Urticaria)

(4) 피부묘기증성 두드러기 (Dermatographic Urticaria)

(4) 피부묘기증성 두드러기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피부묘기증성 두드러기 (Dermatographic Urticaria) 이미지
피부묘기증성 두드러기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두드러기 중 가장 흔한 것이 피부그림증(皮膚描記症, Dermographism)인데, 이것은 정상적인 생리 반응과는 달리 자극에 대하여 루이스(Lewis)의 3중반응이 과장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피부를 긁은 후 수 분 내에 긁은 부위에 부종과 발적이 나타난다. 중등도의 압력으로 피부를 긁으면 가려움증 없이 피부에 팽진과 발적이 생기는 단순피부그림증(Simple dermographism)과 피부를 가볍게 긁거나 스치거나 비비는 등의 아주 경미한 기계적 자극에도 쉽게 2~5분 내에 가려움을 동반한 선상의 팽진과 주변의 홍반성 발적이 생기고 30분~3시간 정도 지속되는 증상피부그림증(symptomatic dermographism)이 있다. 인구의 1.5~4.2%에서 나타나지만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휠씬 적어서 대부분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상인에게 수동전이가 가능하므로 IgE에 의해 매개 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초기 증상의 시작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는데, 바이러스 감염, 항생제(페니실린), 갑상선 질환, 당뇨병, 갱년기 장애, 음식물, 정신적인 스트레스, 뜨거운 목욕 등으로 유발될 수 있으나 많은 경우에서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수 주에서 수년간 지속된다. 경미한 자극에도 두드러기가 발생하므로 전신 여기저기에 두드러기가 수시로 생기며, 그로 인해 가려워서 긁으면 더욱 심한 두드러기가 발생하게 된다.

 급성 두드러기의 경우에 피부묘기증이 동반되거나 속발되는 것을 때때로 볼 수 있으며,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에도 피부묘기증의 동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점막 침범과 혈관부종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지만, 최근에는 입술과 구강 내에 발생한 피부묘기증 증례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지연피부묘기증은 피부를 긁어낸 후 즉시 피부묘기증이 발생하지 않고 1~6시간 지난 후에 팽진이 나타나서 24~48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를 말하며 드물게 발생한다.

 참고로, 백색피부그림증(White dermographism)은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경우 정상인에서 나타나는 발적 대신 피부 혈류의 감소에 의해 오히려 창백해져서 하얗게 보이는 현상으로, 아토피피부염의 부진단 기준 중의 하나이다. 흑색피부그림증(Black dermographism)은 금이나 금합금 등의 금속을 피부에 문지르면 피부 표면에 경계가 명확한 검은 선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으로는 피부에 도포된 분말 화합물에 대한 장신구 금속의 물리적 마모나 금속물질과 땀 속에 함유된 화합물과의 화학반응에 의한 현상이라는 주장이 있다.

참고문헌

1. 김선훈, 최지호, 은희철. 일반인에서의 피부묘기증 발생빈도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1984; 22 (2): 191-6.
2. 김수조, 유희준, 손숙자, 박인서. 피부묘기증( II ) - 임산부에서의 출현 빈도 -. 대한피부과학회지 1987; 25 (2): 183-6.
3. 김수조, 유희준, 손숙자. 피부묘기증 ( III ) - 급성 · 만성 담마진에서의 피부묘기증 -. 대한피부과학회지 1988; 26 (2): 179-83.  
4. 김호준, 전재복. 피부묘기증 병소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조직반응. 대한피부과학회지 1989; 27 (1): 9-16.  
5. 박상진, 김수홍, 박경호, 이일수. 원형 탈모증 환자에서 DPCP 치료중 발생한 피부 묘기증 1 예. 대한피부과학회지 2001; 39 (7): 819-21.
6. 서동헌, 유희준, 손숙자. 피부묘기증 ( I ) - 정상인에서의 출현빈도 -. 대한피부과학회지 1986; 24 (3): 340-5.  
7. 신현주, 유희준, 손숙자, 정덕희. 피부묘기증( IV ) -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의 출현빈도 -. 대한피부과학회지 1990; 28 (2): 174-8.
8. 이애영, 황규왕, 김계정. 약물발진, 홍반 및 두드러기. In: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6판. 도서출판 대한의학 2014: 289-97.
9. 이유신, 김선훈. 피부묘기증(皮膚描記症)의 임상적 고찰. 대한피부과학회지 1981; 19 (1): 55-9.
10. 장호선. 물리 두드러기. 피부과 전문의를 위한 Update in Dermatology 2004; 2 (3): 27-30.
11. 전인기, 박미순, 김승훈, 김영표. 피부묘기증(皮膚描記症) 환자의 정신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1987; 25 (3): 318-25.  

​*Binmadi N, Almazrooa S. Dermographism in the Oral Cavity. Am J Case Rep 2016; 17: 421-4.
*English JS, Murphy GM, Winkelmann RK, Bhogal B. A sequential histopathological study of dermographism. Clin Exp Dermatol 1988; 13 (5): 314-7.
*Lewis T. The Blood Vessels of the Human Skin. Br Med J 1926; 2 (3418): 61–2.
*Lewis T. The Blood Vessels of the Human Skin and Their Responses. London, Shaw and Sons 1927: 46–64.
*Lewis T. Vascular reactions of the skin to injury. I. Reaction to stroking; Urticaria factitia. Heart 1924; 11: 119–39.
*Lowe E, Lim S. Black Dermographism. JAMA Dermatol 2017; 153 (3): 352-3.
*Margolis CF, Estes SA. Symptomatic dermographism. J Fam Pract 1981; 13 (7): 993-5.
*Martorell A, Sanz J, Ortiz M, Julve N, Cerdá JC, Ferriols E, Alvarez V. Prevalence of dermographism in children. J Investig Allergol Clin Immunol 2000; 10 (3): 166-9.
*Press Y, Peleg R. Dermographic Urticaria. Isr Med Assoc J 2016; 18 (1): 65.
*Urbach E, Pillsbury D M. The phenomenon of 'black dermographism'. J Am Med Assoc 1943: 121: 485-90.
*Wallengren J, Isaksson A. Urticarial dermographism: clinical features and response to psychosocial stress. Acta Derm Venereol 2007; 87 (6): 493-8.
*Winkelmann RK. The histology and immunopathology of dermographism. J Cutan Pathol 1985; 12 (6): 486-92.
*Wong SS, Edwards C, Marks R. A study of white dermographism in atopic dermatitis. J Dermatol Sci 1996; 11 (2): 148-53.


정종영의 저서 목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