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젯

2020년 9월 16일 수요일

배꼽 돌 - 제석(Omphalith)

배꼽 돌 - 제석(Omphalith)

제석(Omphalith)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제석(Omphalith) 이미지
사진1. 제석(Omphalith)

 제석은 각질과 피지의 축적으로 형성된 돌과 같이 단단한 흑갈색의 결석과 같은 물질을 말하며, 'Omphalolith', 'Keratolith', 'Omphalokeratolith' 또는 'Umbolith'라고도 부른다. 배꼽은 대개 움푹 들어가 있으므로 때가 잘 끼고, 좋지 않은 냄새가 나기 쉽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배꼽을 물로 씻으면 물이 배 안으로 들어갈 것으로 잘못 생각하거나, 배꼽때는 파내는 게 아니라고 하여 방치함으로써 많은 세월이 흐르면서 딱딱한 상태로 배꼽에 꼭 박혀 있게 된다. 외국에서는 무척 드문 질환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배꼽을 씻는 것을 금기시하는 몇몇 국가에서는 꽤 흔히 발견될 것으로 생각된다. 

 배꼽은 태생기의 제대 부착부가 출생 후 흔적으로 남은 부위로서 아랫부분은 피부부속기가 없는 반흔 조직이지만, 측벽에는 피부부속기인 에크린땀샘, 모낭, 피지샘, 아포크린땀샘 등이 비교적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제석은 탈락된 피부 각질과 측벽에 존재하는 피지샘 및 땀샘으로부터 분비되는 물질이 축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석의 임상적 특징은 발견되기 전까지 수개월 내지 수년 동안 점차 커져서 무통성인 흑갈색의 돌과 같이 단단한 물질로서 제와에 잘 부착되어 있고, 때로는 이차적인 세균감염이나 궤양을 형성하여 통증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이차적인 감염 및 궤양이 없더라도 우연히 목욕 후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데, 그것은 목욕으로 인해 제석의 부피가 증가하여 주위 조직을 압박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배꼽 화농육아종이나 연조직염의 발생도 보고되어 있다. 


배꼽의 제석
사진2. 제석(Omphalith)


배곱에 생긴 제석
사진3. 제석(Omphalith)


병리조직학적으로 핵이 없는 탈락된 각질세포와 피지 등의 분비물이 빽빽히 밀집해 있고 일부 멜라닌 색소 과립이 나타나 있는 내부 소견에 비해, 외부는 비교적 치밀도가 감소되어 층을 이루고 있다. 진단은 일반적으로 문진과 시진만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치료는 통상 단순적출로 가능하며, 마취는 필요치 않다. 그러나 염증성 변화가 동반된 경우라면 적출 후 항생제를 경구투여하거나 항생제 혹은 스테로이드연고를 국소도포한다. 


배꼽의 제석 제거 이미지
사진4. 제석의 제거


배꼽에서 제거된 제석 이미지
사진5. 쉽게 제거되는 제석의 경우



참고문헌

1. 이재조, 이승철, 원영호, 전인기, 김영표. 제석(臍石)(Omphalith) 1예. 대한피부과학회 초록집 1988; 26 (20): 69.
2. 하범석, 전인기, 김영표. 제석(臍石)( Omphalith )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89; 27 (3): 325-8.

*1. Cohen PR, Robinson FW, Gray JM. Omphalith-associated relapsing umbilical cellulitis: recurrent omphalitis secondary to a hair-containing belly button bezoar. Cutis 2010; 86 (4): 199-202.
*2. Ichiki Y, Kitajima Y. Omphalith. Clin Exp Dermatol 2009; 34 (3): 420-1.
*3. Imaizumi T: A case of omphalith in a patient with seborrheic keratosis of the umbilicus, Ann Dermatol Venereol 1989; 116 (1): 27-8.
*4. Kumar SK, Reddy CO, Reddy K. Omphalolith. Indian J Surg 2011; 73 (3): 238-9. 
*5. Swanson SL; Woosley JT; Fleischer AB Jr; Crosby DL: Umbilical mass. Omphalith. Arch Dermatol 1992; 128 (9): 1267, 1270.
*6. Yoshida Y, Yamamoto O. Umbilical pyogenic granuloma associated with occult omphalith. Dermatol Surg 2008; 34: 1613-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