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젯

2020년 9월 8일 화요일

소아기굽힘쪽면포(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소아기굽힘쪽면포(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소아기굽힘쪽면포

(소아기굴측면포,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면포는 여드름의 움직일 수 없는 증거로서 일반적으로 얼굴, 등, 가슴 등의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지만 산재된 면포는 Familial dyskeratotic comedones, idiopathic disseminated comedones, extensive nevus comedonicus 등과 같은 다른 피부질환에서도 발견되며, 또한 광손상이나 방사선치료, 외상, 화농땀샘염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면포가 발생하기도 한다. 소아기굽힘쪽면포는 2007년 Larralde 등에 의해 굽힘쪽에 위치하며 어린 나이에 생기므로 'Childhood flexural comedones'로 처음 명명되었다. 소아기굽힘쪽면포는 두 개의 개구부가 표피의 얇은 층에 의해 연결되며 그 아래 면포 내용물이 들어있다. 여아와 남아에서 비슷한 발생률을 보이며, 2세~15세 사이(평균 6.2세)의 아동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72%에서 단일 병변, 80%에서 일측성으로 나타난다. 환자의 88%에서 겨드랑이에 병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이미지
사진 1. 겨드랑이에서 관찰되는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원인은 명확치않으며, 화농땀샘염이나 물사마귀와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고 마찰과 같은 국소 외상에 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분명하지 않다. 소양감이나 통증과 같은 별 자각증상이 없으므로, 대개 부모가 목욕 중 발견하여 내원하거나, 다른 피부질환의 진찰 중 의사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2008년 Pitarch 등은 5세 소아의 발생예와 함께 25세 및 40세 남녀 성인의 증례를 보고하면서 소아기굽힘쪽면포는 청소년기나 성인기의 여드름 또는 화농땀샘염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이 질환이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고, 두 개의 개구부를 가진 면포가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10배 확대 이미지
사진2.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x10)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60배 확대 이미지
사진3.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x60)


소아기굽힘쪽면포(Childhood flexural comedones) 면포추출기 압출 이미지
사진4.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압출


 진단은 신체의 굽힘쪽 부위에 두 개의 개구부가 얇은 표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아래 면포 내용물이 들어있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 육안진찰로 가능하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모낭누두부의 확장과 모낭 내부의 각질전이 확인된다. 면포제거기나 면봉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내용물이 압출되지만, 확실한 치료는 병변의 절제이다.


참고문헌

*1. Brandrup F, Asschenfeldt P. Molluscum contagiosum-induced comedo and secondary abscess formation. Pediatr
Dermatol. 1989; 6: 118-21.
*2. Cho SB, Lee SH, Jung JY, Oh SH. A case of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9; 23 (3): 366-7.
*3. Fletcher CL, Acland KM, Powles AV. Unusual giant comedo naevus. Clin Exp Dermatol 1999; 24: 186–8.
*4. Hallermann C, Bertsch HP. Two sisters with familial dyskeratotic comedones. Eur J Dermatol 2004; 14: 214–5.
*5. Jemec GB, Heidenheim M, Nielsen NH. The prevalence of hidradenitis suppurativa and its potential precursor lesions. J Am Acad Dermatol 1996; 35: 191-4.
*6. Larralde M, Abad ME, Muñoz AS, Luna P. Childhood flexural comedones. Arch Dermatol 2007; 143: 909–11.
*7. Lefkowitz A, Schwartz RA, Lambert WC. Nevus comedonicus. Dermatology 1999; 199: 204–7.
*8. Pitarch G, Pitarch A, Sánchez-Motilla JM. Flexural Comedones. Actas Dermosifiliogr 2008; 99: 824.
*9. Zhang RZ, Zhu WY. Idiopathic disseminated comedones in a child. Pediatr Dermatol 2006; 23: 163–6.



댓글 없음:

댓글 쓰기